한국기계연구원, 프로텍과 핵심장비 기술개발 성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여러개의 반도체 칩을 동시에 조립해 후공정 생산성을 기본보다 100배 높일 수 있는 장비를 개발했다. 반도체 칩에 가하는 열손상은 줄이고 생산성은 높인 차세대 방식으로 세계적으로 아직 상용화 사례는 없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유연 반도체 후공정 장비 '갱 본더(Gang-Bonder)' 장비를 ㈜프로텍과 공동으로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계연구원 송준엽 부원장 연구진은 기존 후공정 방식과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시간당 반도체 생산량(UPH)이 100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갱 본더 기술은 기존의 반도체 칩을 기판에 하나씩 조립하던 방식과 달리 여러 개의 칩을 동시에 조립하는 기술이다.
송준엽 부원장은 "이번에 개발한 갱 본더 장비는 유럽, 일본 등 반도체 장비 선도국가의 소수 업체가 주도하고 있는 최고 사양의 반도체 조립 장비보다 앞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카드, 메디컬 디바이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조립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뿐만아니라 AI 반도체 패키지와 같은 웨이퍼 및 패널 레벨 패키지 초정밀 조립 분야에도 활용해 새로운 장비산업 창출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장비는 머리카락 한 가닥(약40~70㎛)의 절반보다 얇은 20㎛급 유연 반도체 칩을 고집적 유연기판에 배열하고, 조립정밀도 ±2㎛ 이내로 접속 및 적층시킬 수 있는 대면적 규모 패널 레벨 패키지 조립 장비다.

또한 300㎜×300㎜ 이상의 대면적을 20℃/sec 이상으로 고속 승온 및 냉각할 수 있는 다중 셀 세라믹 히터(온도 균일도 ±2% 이내)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유연 기판을 셀로 나눠 가열하되, 이를 동시에 진행하여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