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사태 위험! 대피하세요" IoT 기술로 재해위험 미리 알린다

안태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7.29 12:00

수정 2020.07.29 12:00

행정안전부,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체계 사업' 추진
[파이낸셜뉴스]
작년 10월 태풍 미탁 피해지역인 경북 울진군 기성면 망양 2리에 산사태로 토사가 밀려든 모습. 뉴스1
작년 10월 태풍 미탁 피해지역인 경북 울진군 기성면 망양 2리에 산사태로 토사가 밀려든 모습. 뉴스1
폭우로 인한 산사태, 침수 등을 사전에 감지해 인근 주민들에게 대피를 알리는 서비스가 시행된다.

행정안전부는 29일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재해위험지역별 위험 상황을 사전에 진단하고, 재해와 재난 발생을 주민에게 미리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현재 기상청 예보를 통해 기상상황을 알리고 있지만, 기후변화 탓에 예측이 어려운 자연재해가 늘고있다. 특히 각 지형별로 재해를 견딜 수 있는 기준이 달라 한밤중이나 새벽에 일어나는 사고가 큰 인명피해로 이어져왔다.

이에 행안부가 전국 위험지역 170여곳을 대상으로 사회간접자본(SOC) 핵심 기반시설 디지털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제3회 추경에서 288억원의 사업예산을 확보했다.

먼저 인명피해 우려가 높은 지역을 △침수 예상지역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위험저수지 등으로 분류하고 지역의 특성에 맞춘 디지털 관측기와 계측기를 설치해 맞춤형 관찰 체계를 구축한다.

설치된 관측기, 계측기에서 설계기준 이상의 징조가 예측될 경우, 시중의 사물 인터넷(IoT) 기반으로 조기경보 체계를 가동해 주민이 미리 대피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지리정보시스템(GIS) 상황판에도 사진과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출해, 중앙과 지자체 간 소통채널을 강화하고 빠른 현장대응이 가능토록 할 예정이다.


김계조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자연재해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우리가 가진 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대비하고 예측해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 제공.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