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뉴스1) 심영석 기자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쉽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됐다.
키트를 통해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많이 확보하면 향후 플라스틱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일 한국화학연구원에 따르면 오동엽·신기영 박사팀이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빠르고 간편하게 찾아낼 수 있는 스크리닝 키트를 개발했다. 이 키트를 활용하면 최대 1주일 안에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미생물들을 찾아낼 수 있다.
스크리닝 키트는 손바닥 크기의 둥근 샬레다.
그 다음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는 강물이나 해수, 흙탕물을 뿌리면 이 안의 특정미생물들이 플라스틱 코팅된 부분을 먹어치운다. 플라스틱이 없어지면 천만 드러나 이 부분 색깔이 투명해지며, 투명해진 부분에 있는 미생물들을 도구로 조심스럽게 긁어서 채취한다.
이 모든 과정은 1주일 안에 끝난다. 플라스틱을 작은 크기인 직경 20 마이크로(100만분의 1m) 미만의 사이즈로 코팅했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어 미생물이 빠르게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플라스틱을 영양분으로 삼은 미생물이 짙은 농도로 번식하고 생장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추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실제, 연구팀은 키트를 통해 플라스틱 필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하수 처리장 및 토양으로부터 3일 이내에 추출해냈다. 추출한 미생물을 배양한 곳에 1cmx1cm 면적의 100마이크로 두께 필름을 넣으면 2주 안에 분해되는 것을 확인했다.
향후 연구팀은 이 키트를 활용해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균주를 다양하게 확보하고 대량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책임자 오동엽 박사는 “이 키트가 상용화되면 국내 연구자들이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빠르고 쉽게 찾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그린 케미스트리’ 7월호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