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과학관, '인공지능 자율탐구 성과대회' 결과 발표
28명 중 14명 선정…"창의성, 탐구 성과·과정 고려해 평가"
![[서울=뉴시스] 국립중앙과학관이 주최한 '2022년 인공지능 자율탐구 성과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수상자 명단 (자료=국립중앙과학관 제공) 2022.10.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2/10/27/202210271743078212_l.jpg)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국립중앙과학관은 '2022년 인공지능 자율탐구 성과대회' 수상자 14명을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최고상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에는 '노약자와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초록불 시간을 조절하는 인공지능'을 제작한 경기 용인시 효자초등학교 5학년 현지민 학생 등 6명이 선정됐다.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를 탐구한 대전대신고등학교 2학년 한현빈 학생 등 8명은 국립중앙과학관장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인공지능 자율탐구 프로그램은 과학관이 제시한 탐구과제 중 1개를 참여 학생들이 선정해 약 8개월 동안 자율탐구하는 프로그램이다. 과학관은 인공지능 자문단이 참여하는 온라인 정기 자문 서비스 등을 학생들에게 제공해 이들의 탐구활동을 지원했다.
지난 3월부터 운영한 올해 인공지능 자율탐구 프로그램에는 전국 총 98명의 학생(초등생 47명, 중학생 33명, 고등학생 18명)이 참여했다. 이 중 과학관이 제시한 탐구과제를 끝까지 완료한 28명이 이번 대회에 참가했다.
평가위원장인 대전만년고등학교 박영준 교사는 "인공지능 자율탐구 성과대회는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수준만을 겨루는 대회가 아니어서 학생들의 창의성, 탐구 성과는 물론 탐구과정도 고려해 평가했다"며 "최종 14명의 수상자는 인공지능을 배우고자 하는 열정을 보유하고 생활 주변의 다양한 문제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돋보였다"고 말했다.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은 "중앙과학관은 그동안 과학기술 5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핵심 전략기술인 인공지능에 대한 탐구 분위기 확산을 위해 자율탐구 프로그램, 학교 인공지능 동아리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장은 "내년부터는 원하는 학생 누구나 온라인 강좌를 활용해 쉽게 인공지능을 탐구하고, 직접 과학관을 방문해 전문가들의 자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자율탐구 프로그램 운영을 개선해 많은 청소년이 인공지능을 탐구할 수 있도록 최대한 돕겠다"며 약 3000명의 청소년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alpac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