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뭐라는 거야?"…'경계경보 사이렌' 웅얼댔던 이유 있었다

뉴스1

입력 2023.06.09 10:05

수정 2023.06.09 14:56

지난 2017년 8월 공습대비 민방위 훈련이 이뤄지는 모습. ⓒ News1
지난 2017년 8월 공습대비 민방위 훈련이 이뤄지는 모습. ⓒ News1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지난달 31일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 당시 서울에 울린 경계경보 사이렌 소리가 제대로 들리지 않았다는 지적이 많은 가운데 서울시가 민방위 경보 사이렌 가청률(실제 들리는 정도) 조사를 6년 동안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고층 건물은 늘어나는데 사이렌 개수는 거의 늘지 않은 것도 가청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9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의 사이렌 가청률 조사는 6년 전인 2017년 8월 이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청률 조사는 통상 2년 주기로 지자체마다 민방위 훈련 때 함께 진행한다.

시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들어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이 중단되며 서울시도 2017년 이후 가청률을 조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공습 대비 민방위훈련은 2017년 8월 중단돼 약 6년 만인 지난달 16일까지 실시되지 않았다.

시는 2017년 조사 당시 사이렌 총 175대 가운데 노원·은평·성북구 3곳에 새로 설치한 4대만 점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행안부가 신규 혹은 이전 설치한 사이렌을 점검하라는 공문을 보낸 데 따른 조치"라고 말다.

나머지 171대는 지도에 사이렌 한 대당 최대 도달 가능한 반경 1.5㎞를 표시해 빈 곳이 없다는 점을 확인한 뒤 행안부에 가청률 100%로 보고했다.

2021년에는 사이렌을 울리는 대신 인공음성(TTS) 경보방송으로 가청률 조사를 대체했다. 시는 훈련이 아닌 상황에서의 대규모 사이렌 발령이 시민 혼란을 초래하는 문제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훈련 상황도 아닌데 사이렌을 울리면 민원이 상당히 많이 들어온다"며 "인공음성 경보방송은 비교적 혼란이 적다"고 설명했다.

한편 고층 건물이 늘어나며 소리 전파가 어려워졌음에도 서울시내 사이렌은 거의 늘지 않은 상황이다. 2012년 165대였던 사이렌은 올해 176대로 10년간 불과 11대 늘었다. 특히 강북구의 경우 구내 사이렌이 단 3대로 여건이 열악한 편이다.

실시간핫클릭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