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중남미

미키마우스 저작권 만료에 공포게임 등장…디즈니 법적공방 예고

뉴스1

입력 2024.01.02 14:43

수정 2024.01.02 14:43

게임 개발사 나이트메어 포지 게임스가 1일(현지시간) 게임유통 플랫폼 스팀을 통해 공개한 '인페스테이션 88'의 예고편으로 게임 속 미키마우스의 모습이 기괴하게 변형됐다(유튜브 'IGN' 갈무리). 2024.1.1
게임 개발사 나이트메어 포지 게임스가 1일(현지시간) 게임유통 플랫폼 스팀을 통해 공개한 '인페스테이션 88'의 예고편으로 게임 속 미키마우스의 모습이 기괴하게 변형됐다(유튜브 'IGN' 갈무리). 2024.1.1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미국 월트 디즈니가 소유한 초대 미키마우스 저작권이 1일(현지시간) 자동 만료되면서 온라인상에선 이를 활용한 공포게임 등 2차 창작물이 등장했다. 그러나 상표권은 여전히 보호되는 데다 디즈니 측이 법적 공방을 예고한 만큼 이러한 창작물이 계속 나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국 연예전문 매체 콜라이더에 따르면 단편영화 '증기선 윌리'(1928년 개봉)의 주인공인 초대 미키마우스는 이날 95년간의 저작권이 만료돼 '퍼블릭 도메인'으로 전환됐다. 따라서 누구든지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디즈니의 저작물인 초대 미키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를 기다렸다는 듯 이날 게임유통 플랫폼 스팀에는 미키마우스의 모습을 기괴하게 비튼 공포게임 '인페스테이션 88'의 새로운 예고편이 올라왔다.

영상 속 게이머들은 방호복을 입고 격실을 돌아다니며 피 흘리는 쥐떼로 돌변한 미키마우스들을 총기로 박멸한다. 개발사인 나이트메어 포지 게임스는 앞서 2022년 저작권 만료로 각종 공포게임의 소재가 된 곰돌이 푸의 명성을 잇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에 퍼블릭 도메인으로 바뀐 미키마우스는 1928년작 모습에 국한된다. 초대 미키마우스는 흑백인 데다 팔다리가 길고 얼굴은 작은 편이라 우리가 아는 귀여운 모습과는 거리가 있다. 그간 미키마우스는 수차례 디자인 변경을 거쳐 오늘날 '빨간 반바지에 흰 장갑을 착용한' 형태로 자리 잡았는데, 이는 여전히 저작권 보호 대상이다.

그럼에도 미키마우스를 활용해 동심을 해치는 2차 창작물이 범람할 조짐이 보이자 디즈니 측은 불쾌한 심경을 드러냈다. 디즈니는 지난달 29일 AFP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미키마우스 캐릭터의 무단 사용으로 인한 소비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평소 지식재산권에 예민하게 반응해 온 디즈니가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 소멸되는 저작권과 달리 각국 특허기관에 등록된 상표권은 갱신만 거치면 이론적으로는 무기한 보호되기 때문이다. 원저작물로 오인할 만큼 유사한 제품을 제3자가 생산하면 상표권자는 이에 제동을 걸 수 있다.

저스틴 휴즈 미 로욜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AFP와의 인터뷰에서 "법적 분쟁이 발생한다고 해도 놀랍지 않다. 디즈니가 조만간 '고예산 팬아트'를 제작하는 아티스트들에게도 중단 요청 서한을 발송할 수 있다"면서 초대 미키마우스를 셔츠, 모자, 머그컵에 사용하는 이들은 소송전에 휘말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