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삼성SDI· SK온 "환영"
2026년까지 中 흑연 사용해도
美 IRA 세액공제 혜택 가능해져
업계도 "정부 노력에 감사" 화답
2026년까지 中 흑연 사용해도
美 IRA 세액공제 혜택 가능해져
업계도 "정부 노력에 감사" 화답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 대표들이 최근 미국 정부의 흑연에 대한 중국 등 해외우려기관(FEOC) 적용을 2년 유예한 조치를 일제히 환영했다. 이들 대표들은 "2년의 시간이 주어진 만큼 공급망 다변화에 집중하겠다"는 공통된 입장을 보였다.
■K배터리 대표들 "불확실성 해소"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8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관련 민관 합동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 정부의 FEOC 유예 조치에 대해 "시간이 2년 정도 확보됐고, 불확실한 부분이 더 확실해져 (공급망 다변화를) 준비하는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저희가 계획했던 대로 쭉 진행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이석희 SK온 사장도 FEOC에 흑연이 제외된 것에 대해 "업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반겼다.
미국 재무부와 에너지부는 지난 3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 조항 및 FEOC 정의에 대한 최종 가이던스를 각각 발표했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흑연 공급망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고, 중국을 대체할 공급처를 찾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던 상황이라 이번 유예 조치로 한숨 돌렸다는 반응이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중국은 2022년 기준 전 세계 구형(spherical) 흑연의 100%, 합성 흑연의 69%를 정제·생산하고 있다.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는 과제"
이번 유예 조치는 대통령실,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등 범정부 차원에서 미국 측과 적극 협의에 나선 게 큰 역할을 했다는 후문이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산업부에서 확실한 지원이 이뤄고 있는 것 같다"고 했고, 이석희 사장은 "정부에서 배터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미국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준 것에 감사하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이날 배터리 및 완성차 업계의 공급망 자립화 노력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해 올해 9조7000억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등 금융·세제 및 인프라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민관의 노력으로 2년이라는 귀중한 시간을 벌었다"며 국내 배터리 업계 공급망 자립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중장기적 관점에서 핵심광물 공급망의 다변화 및 안정적인 관리는 여전히 한국 기업이 이뤄내야 할 중대 과제"라며 "배터리·자동차 업계와 정부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