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HBM 개발 주역' 김종환 SK하닉 부사장, 철탑산업훈장 수상

장민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2 13:25

수정 2024.05.22 13:25

관련종목▶

지난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 포상에서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한 SK하이닉스 D램개발 담당 김종환 부사장(왼쪽)과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한 D램코어디자인 김웅래 팀장(오른쪽)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하이닉스 제공
지난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 포상에서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한 SK하이닉스 D램개발 담당 김종환 부사장(왼쪽)과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한 D램코어디자인 김웅래 팀장(오른쪽)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하이닉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SK하이닉스는 지난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김종환 부사장(D램개발 담당)이 철탑산업훈장을, 김웅래 팀장(D램코어디자인)이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SK하이닉스 D램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는 김 부사장은 인공지능(AI) 메모리 개발 공적으로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김 부사장은 2021년부터 회사의 D램 개발을 총괄하면서 2022년 6월 AI 메모리인 고대역폭메모리(HBM) 4세대 제품 HBM3 양산 성공을 이끌었다. 지난해 8월에는 5세대 제품인 HBM3E를 개발해냈다.
또 메모리에 연산 기능을 더한 차세대 지능형 메모리 '프로세싱 인 메모리(PIM)를 개발하고, 메모리와 다른 장치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해 제품 성능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여주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메모리 개발에도 기여했다.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한 김 팀장은 D램 10나노급 미세공정에 도입되는 회로 관련 설계 기술을 개발해 제품 성능 향상과 원가 절감을 이뤄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아울러 모바일용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LPDDR)4와 LPDDR5의 초고속·저전력 동작 기술을 개발하고 핵심 특허를 출원해 국가 지식재산(IP) 확보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