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노동복지

스포츠·원어민 인력 지원…'서울형 작은학교' 만족도 90% 넘었다

뉴시스

입력 2025.03.10 09:41

수정 2025.03.10 09:41

소규모학교, 2014년 35개교→2024년 169개교 서울형 작은학교에 연간 2500만원 예산 지원
[서울=뉴시스] 서울본동초등학교 드림오케스트라 학생들의 등굣길 음악회 모습 (사진=서울시교육청 제공) 2025.03.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서울본동초등학교 드림오케스트라 학생들의 등굣길 음악회 모습 (사진=서울시교육청 제공) 2025.03.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스포츠강사와 원어민보조교사 지원 등 교육 관련 지원을 강화하면서 서울형 작은학교 만족도가 9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17학년도 1기부터 시작한 서울형 작은학교는 3기 1차년도 만족도가 90.4%, 3기 2차년도 만족도는 91%에 달했다. 첫 시작이었던 1기에서도 만족도는 89.8%(3차년도)를 기록한 바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통폐합 위기에 몰려있는 소규모학교를 '가고 싶고 머물고 싶은 학교'로 만드는 정책인 서울형 작은학교로 만들어왔다.

교육통계 기준 초등학생 240명 이하, 중·고등학생 300명 이하인 소규모학교는 2014년 35개교에서 2024년 169개교로 증가했다.



서울형 작은학교는 교육여건 개선을 통해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심 속 작은학교라는 특징을 살려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교사와 소통하고 개별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2023~2025학년도까지 운영을 하고 있는 제3기 서울형 작은학교로 선정된 학교에는 3년간 ▲스포츠강사 및 원어민보조교사 지원 ▲교원 초빙 등 희망 교사 우선 배치 ▲연구학교 지정 통한 유공 교원 가산점 부여로 우수 교원 확보를 유도하고 있다.

또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연 2500만원의 예산을 추가로 지원하고 있다.

서울형 작은 학교는 서울전역 통학학구를 운영해 통학구역 외 학생이라도 주소 이전 없이 서울형 작은학교로 전입학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서울교동초의 경우 통학구역 내 학생 수가 급격히 감소한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전역 통학학구 운영으로 전교생 중 통학구역 외 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이 85.2%에 달한다.

전입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과 보호자는 해당 학교로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3기 서울형 작은학교는 중현초, 교동초, 충무초, 효제초, 수서초, 본동초, 사근초, 성북초 등 8개교다.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10월 제4기 서울형 작은학교를 선정할 예정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서울형 작은 학교는 앞으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소규모학교 운영의 모델이 될 것"이라며 "소규모 학교에 대한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