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이달 25일 국내 첫 버퍼형 ETF 상장
NH證, 3년반 전 버퍼 ETN 상장...다른 증권사들 외면
유사한 손실제한 ETN도 대거 등장했으나 현재 1개 남아
투자자들, ‘손실 완충’보다 ‘주가 상승 추종 제한’에 초점
NH證, 3년반 전 버퍼 ETN 상장...다른 증권사들 외면
유사한 손실제한 ETN도 대거 등장했으나 현재 1개 남아
투자자들, ‘손실 완충’보다 ‘주가 상승 추종 제한’에 초점

[파이낸셜뉴스]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첫 버퍼형 상품이 입성하지만, 투자자 선택을 기대만큼 받을 수 있을지를 두고는 의문이 나온다. 과거 증권사들이 이미 유사한 상장지수증권(ETN) 상품들을 시도했으나 사실상 실패했기 때문이다. 당시 손실을 완충한다는 지점보다 주가 상승분을 따라가는 게 제한된다는 점이 투자자들 외면의 이유였다.
■손실 완충 vs 상단 제한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이 시작하는 국내 버퍼형 ETF가 국내 투자자들을 설득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 시각이 나온다. 여타 운용사들도 버퍼형 ETF 출시 여부를 저울질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실제 나오게 되면 역시 같은 지적에 직면하게 된다.
투자자들 초점을 어디에 맞출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령 삼성자산운용이 내세우듯 ‘손실 완충’에 무게중심이 가게 되면 매수세가 이어지겠으나, 반대로 ‘상단 제한’ 경험이 누적될 경우 ‘반짝 성공’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오는 25일 상장하는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구조의 핵심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투자하면서 약 10% 정도 주가 하락이 있어도 이를 완충(버퍼)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해당 지수가 1년 동안 20% 떨어져도 투자자는 10%p를 차감한 10% 손실만 안으면 된다는 뜻이다.
이는 커버드콜 ETF처럼 콜옵션(자산을 일정 가격에 살 권리)을 매도해 확보한 재원을 분배로 돌리는 대신 풋옵션(자산을 일정 가격에 팔 권리)을 매수에 씀으로서 가능하다.
문제는 풋옵션 프리미엄을 지불할 때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를 상쇄하기 위해 콜옵션을 선택해 매도할 때 ‘캡(Cap)’이 설정된다는 점이다. S&P500이 20% 올라도 캡이 10%로 씌워진다면 나머지 10%는 포기해야한다는 의미다. 옵션은 매년 롤오버(청산 후 재투자)되기 때문에 그 수준은 1년 단위로 바뀐다.
버퍼형이 자체적으로 품고 있는 한계도 있다. 옵션 만기가 1년인 만큼 ETF 매도 시점에 따라 수익성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보유하고 있어야 ‘버퍼’의 이점을 오롯이 누릴 수 있다. 또 국내 상장 ETF 투자 시엔 옵션 매매뿐 아니라 원·달러 환율까지 고려해야 한단 제약도 있다.
■ETN 시장선 이미 시도...사실상 ‘실패’
무엇보다 국내 ETN 시장에서 이미 버퍼형 상품이 그다지 성공을 거두지 못한 전례가 있다.
NH투자증권은 지난 2021년 10월 6일 ‘N2(당시 브랜드 QV) S&P500 버퍼10% 9월’을 선보인 이후 2022년 11월 28일 3월·6월·12월(롤오버 시기) 등 3종을 추가로 냈다. 하지만 4종 합산 지표가치총액은 현재 830억원 수준에 불과한데다 롤오버 시점에 따라 수익률도 천차만별이다.
특히 한 증권사 관계자는 “당시 다른 증권사들도 버퍼형 ETN 출시를 고민하긴 했으나, 특별한 마케팅 지점을 잡지 못했고 성공 여부도 불확실해 따라가지 않았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버퍼형과 구체적인 작동 구조는 동일하지 않지만 역시 ‘손실을 상당 부분 막아준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등장했던 손실제한 ETN도 빛을 보지 못 했다.
손실제한 ETN 시장은 금융위원회가 지난 2016년 11월 '파생결합증권 건전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열렸고 이듬해 3월 말 첫 상품들이 상장됐다. 당시 4개 증권사가 참여해 18개를 공급하는 데 그쳤는데, 시장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때도 손실 제한을 위한 비용을 빼면 수익률 상승세가 억제된다는 점이 걸림돌이었다. 결국 이후 만기 도래에 따른 상장폐지 속도를 신상품 출시가 따라가지 못 하면서 현 시점 1개(미래에셋 KRX금현물 Auto-KO-C 2810-01)만 남았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