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사회

“미 명문대들, 트럼프 행정부에 공동 대응 추진”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29 05:57

수정 2025.04.29 05:57

[파이낸셜뉴스]
미국 명문대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학문 자유 침해, 연구 기금 동결이나 철회 등에 맞서 공동 대응하기로 하고 비공식 기구를 설립했다. 25일(현지시간) 뉴욕시립대(CUNY)에서 출발한 시위대가 컬럼비아대를 향해 행진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성토하고 있다. AFP 연합
미국 명문대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학문 자유 침해, 연구 기금 동결이나 철회 등에 맞서 공동 대응하기로 하고 비공식 기구를 설립했다. 25일(현지시간) 뉴욕시립대(CUNY)에서 출발한 시위대가 컬럼비아대를 향해 행진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성토하고 있다. AFP 연합


프린스턴, 하버드대 등 미국 명문대학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횡포에 공동 대응하는 기구를 만들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2기 행정부는 고등 교육기관의 연구 자금, 학문 연구 독립을 흔들고 있다.

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기금을 틀어쥐거나, 연구에 개입하려 시도하고 있다.

WSJ은 소식통들을 인용해 현재 아이비리그와 주요 민간 연구 대학 등 약 10개 대학이 비공식적인 공동 대응 그룹을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의 학풍을 바꾸라며 수많은 요구를 쏟아내자 이를 대학 독립성 위협으로 간주하고 대응 논의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 그룹은 재단, 대학 총장들이 참여하는 대학 최고위급 모임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락을 주고받고 정부와 협상할 때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레드라인’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또 대학 연구자금 수십억달러를 동결하거나 취소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횡포에 각각 어떻게 대응할지도 논의하고 있다.

최근 뉴욕 최고 법무법인(로펌)들이 트럼프의 철권에 맞아 비틀대자 로펌들이 알아서 기기 시작한 것을 보며 대학들의 공동 대응 노력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로펌들의 꼴이 되지 않으려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깨달은 것이다.

개별 대학이 트럼프 행정부 압력에 굴복해 양보를 하면서 위험한 선례를 남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이들이 논의하고 있는 레드라인 가운데 하나는 학문의 독립성을 다시 확보하는 것이다. 대학 행정, 직원 채용, 또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가르칠지 등을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레드라인이다.

이들은 일부 대학이 설립 300년이 넘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 취임 석 달이 됐을 뿐이라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트럼프는 대선 당시 이미 대학들을 자신의 입맛에 맞게 뜯어고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그는 “한때 위대했던 우리 교육기관들을 극단적인 좌편향에서 돌려놓겠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그 일환으로 ‘반유대주의 전투를 위한 태스크포스’를 출범했다. 이 태스크포스는 정부 자금 지원을 끊거나 일시적으로 중단하겠다는 압박을 통해 대학 의사결정에 개입하려 하고 있다. 컬럼비아대는 이런 압력에 굴복해 정부의 요구 다수를 수용했다.

대학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유학생을 압박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 유학생들은 높은 학비로 대학 재원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두뇌도 제공하는 중요한 지적 자원이다.

대학들의 반발은 그러나 일반적인 시위와 달리 떠들썩하지 않게 조용히 이뤄지고 있다.

미 대학협의회(AACU)는 최근 공개 청원서에서 “이례적인 정부의 과도한 영향과 정치적 간섭이 미 대학들을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청원에는 미 주요 500여 대학들이 서명했다.

또 미 주요 10개 주립대학을 지칭하는 빅10, 미시간대와 럿거스(뉴저지주립대), 인디애나대 등은 정부의 공격에 대한 대학들의 공동 대응 모임에 대학 지도부가 참여토록 하는 결의문도 통과시켰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