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최태원 회장도 유심 교체 안 했다"… SKT 답변에 국회 "교체 상황 보고해 달라"

서윤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30 14:03

수정 2025.04.30 14:03

30일 과방위 청문회 증인 출석한 유영상 대표 "유심보호서비스로 충분하다"
유영상 SKT 대표이사가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YTN 등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에 출석했다./사진=뉴스1
유영상 SKT 대표이사가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YTN 등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에 출석했다./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최근 해킹 공격으로 SK텔레콤 가입자들이 유심칩 무상교체를 위해 오픈런까지 감행하는 가운데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창수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은 유심을 교체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의 'YTN 등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CEO)를 통해 알려졌다.

유 대표는 청문회에서 "최태원 회장과 최창원 의장은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했고 유심을 교체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최민희 과방위워장이 유 대표를 향해 '유심을 교체했느냐'는 질문에 "(자신도) 교체하지 않았다. 유심보호서비스로 충분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을 포함해 이날 과방위 위원들은 SK그룹 주요 임원이 SK텔레콤 해킹 사고 발생 이후 유심을 교체했는지 집중 질의했다.

SK텔레콤이 해킹 사고가 발생한 뒤 늑장, 축소 신고한 데다 부적절한 대응으로 전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상황에서 임원진에 대한 불신이 이 같은 질문을 끌어낸 듯 보인다.

최 위원장은 유 대표에게 "유심을 교체할 경우 보고해 달라"고 요청했고 유 대표도 "임원의 유심 교체 상황을 조사해서 추가로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또 유 대표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지난 18일 발생한 유심 정보 유출 사고에 대해 유심 교체와 동일한 효과가 있는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유 대표는 "유심보호서비스가 유심 교체와 버금가는 수준의 효과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층을 위한 유심 교체 예약 신청과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SK텔레콤이 임의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방식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