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C, 의대생들에게 수업 복귀 서한문 보내
시간 지나면 유급 대상자 확정해 교육부에 전달
대학들 결원 충원위한 편입학 요건 완화 요청도
시간 지나면 유급 대상자 확정해 교육부에 전달
대학들 결원 충원위한 편입학 요건 완화 요청도

[파이낸셜뉴스] 정부와 대학에서 유급 시한을 4월 30일로 정한 가운데 의대생들이 어느정도 수업에 복귀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및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30일 의대생들에게 수업에 복귀해 달라는 서한문을 보냈다.
서한문에는 "오늘 복귀하지 않으면, 올해는 더 이상 학교로 돌아올 수 없다"며, "오늘 24시까지 학교로 확실한 수업 참여 의사를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일부 의대생들이 지난 29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간담회에서 조속히 수업에 복귀해야 한다는 말만 들을 수 있었다. 학생들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다는 의견과 함께, 의과대학 특성 상 위계적이고 공동체적인 문화 속에서 복귀 시 낙인효과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했지만, 올해는 원칙에 따라 학사를 운영할 것임을 재차 확인하는데 그쳤다.
또 KAMC는 "어제 교육부에서 오늘을 기준으로 유급 대상자를 확정해 줄 것을 공문으로 요청했다"며, "오늘은 대학과 정부가 학사일정을 고려해서 정한 복귀할 수 있는 마지막 날"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교육부에서는 각 대학별로 원칙적 학사 운영을 적용, 4월 30일자 기준으로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을 파악해 5월 7일까지 자료를 제출해 달라고 전했다.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의대에 한해 결손 인원 전체를 편입생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로 유급·제적이 현실화하자 일부 대학이 편입학 요건 완화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가 편입 요건을 완화할 경우, 별도의 법 개정 없이 매년 10월 대학에 통보하는 '편입 기본계획'을 해당 기간 내에 수정·안내하면 된다. 이후 대학은 11월 편입 규모를 확정하고 학생을 선발하게 된다.
교육부와 대학들이 강경한 입장을 계속 유지하면서 의대생들의 심경 변화도 일어나고 있다.
교육부가 KAMC를 통해 진행한 '의과대학 학생 대상 수업참여 의향 익명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국 의대 40곳 중 24곳의 재학생 1만1189명 중 56.7%에 해당하는 6742명이 복귀를 희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응답자 7673명 중에서는 87.9%가 수업 복귀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복귀 여론이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사실로 확인됐다"며, "조사 결과 수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수가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수보다 2~3배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이 서로의 의사를 확인했고 일부 학교에서는 이번 설문조사를 계기로 돌아오기로 한 학교들이 나오고 있어 이번 설문조사가 수업 복귀의 계기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KAMC는 서한문에서 "일부 학생들이 6월 이후 새정부가 출범하면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미복귀자를 구제해줄 것이라는 막연한 루머를 믿고 있다"면서 "이는 확인되지 않고 확인할 수도 없는 헛된 기대"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유급이 확정되면, 교육과정을 조정하는 학사 유연화 조치로는 복귀할 수 없고, 유급을 구제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만약 7월 또는 8월에 복귀한다면 이미 1학기 교육과정이 끝난 후"라며, "여러분을 위해 2학기에 별도의 교육과정을 만들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학년에서 이미 복귀한 학생과 이후에 복귀한 학생을 위한 두 개의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는데, 대학의 교육여건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