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서버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지정 검토"
"해지, 사전예방·사후대처 미흡한 통신사 향한 항의의 뜻"
"기업 영업기밀 물론 국방·안보까지 사회적 파장 확산"
"통신소비자 보호 최우선 과제"
"해지, 사전예방·사후대처 미흡한 통신사 향한 항의의 뜻"
"기업 영업기밀 물론 국방·안보까지 사회적 파장 확산"
"통신소비자 보호 최우선 과제"

[파이낸셜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일 최근 벌어진 SK텔레콤 유심(USIM·삽입형 가입자식별모듈) 해킹 사태와 관련해 "복제된 유심만으로 금융계좌를 직접 해킹하거나 자산을 탈취하는 일은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하지만, 복제 유심을 활용한 본인인증 후 문자 기반 비밀번호 변경 등 이른바 신원 가로채기를 통한 간접 피해는 충분히 현실적인 위협"이라며 통신사 서버를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하는 등이 방안을 당 차원에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SKT 소비자 권익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긴급간담회에서 "어제부로 지난 20여년 간 사용해 온 SKT와의 계약을 해지했다. 모든 것이 휴대폰 하나로 연결되는 시대에 사전예방은 커녕 사후대처조차 미흡한 통신기업에 대한 항의의 뜻을 담아 한 명의 소비자로서 결단을 내린 것"이라며 이처럼 전했다.
권 원내대표는 최근 SKT 유심 해킹과 관련해 "민간기업의 영엽기밀은 물론 국가적 보안이 요구되는 국방·안보 분야까지 영향을 받고 있어서 그 사회적 파장이 계속 확산되고 있다"며 "더욱이 디지털 취약계층은 유심 교체나 보호서비스 가입 자체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더욱 큰 불안과 피해 가능성에노출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은 통신소비자 권익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장차 통신사 서버를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해 국가 차원의 보안점검을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국민의힘이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