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첫 개최…93개국 400여 명 전문가 참석
정병국 "이제 연대의 단계…행동하고 연결하자"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처음으로 서울에서 개최된 제10차 문화예술세계총회가 폐막했다.
문화예술세계총회는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간 서울 대학로 일대에서 열렸다.
2000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시작된 문화예술세계총회가 동아시아에서 개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은 지난 202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총회가 열린 후 회원국 만장일치 지지를 받아 개최지로 선정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예술위원회 및 문화 기관 국제연합(IFACCA)이 공동 주최한 이번 총회는 '문화예술의 미래 구상'을 주제로 진행됐다.
62개국에서 온 104명의 연사를 포함한 93개국 400여 명의 문화예술 전문가들이 참석해 국제 문화정책을 논의했다.
핵심 화두는 인공지능(AI)이었다.
AI가 예술에 미치는 영향과 불확실한 시대 속 인간의 고유한 서사, 예술가의 주체성을 어떻게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원주민 출신의 AI 윤리학자 마이클 러닝 울프는 "AI가 위험한 이유는 지능형이어서가 아니라 어리석기 때문"이라며 데이터 착취와 언어 표준화가 초래할 문화적 위기를 경고했다.
'급변하는 시대, 문화의 미래 전망'을 주제로 한 통합세션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저항에 맞서는 정책과 모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권 보장이 미래 정책 핵심 과제로 제시되기도 했다.
아울러 기후위기, 지역 간 불균형, 공동체의 회복력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문화예술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세션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이 국적과 배경을 넘어 평등한 자리에서 자유롭게 대화한 '월드카페' 세션도 진행됐다. 이들은 2050년의 미래를 상상하며 문화예술 분야의 관제를 논의하고, 각 지역의 맥락에 맞는 실천 로드맵을 그려냈다.
크리스틴 다니엘슨 IFACCA 이사장은 "서울 총회는 9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장관급 세계회의 몬디아컬트 등 국제 논의에 기여할 실질적 출발점이 됐다"고 말했다.
정병국 예술위 위원장은 폐막 연설에서 "이제 우리는 질문을 넘어 실행과 연대의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며 "각자의 자리에서 행동하고 연결하자"는 메시지를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he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