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은 22일부터 남방큰돌고래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우리바다 고래 라이브'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서비스되는 영상은 제주특별자
2025-07-22 08:34:44[파이낸셜뉴스] 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한다는 연구 결과가 세계 최초로 나왔다. 영국 BBC 방송 등 외신은 15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진이 국제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암컷
2025-07-16 08:23:06[파이낸셜뉴스] 소변을 지나치게 오래 참거나 반대로 너무 짧게 보는 습관이 다양한 건강 이상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조지아공과대학 연구팀은 최근 체중 3kg 이상의 포유류가 평
2025-07-10 12:19:28[파이낸셜뉴스] 인천 한 공원에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된 늑대거북 1마리가 출몰해 관할 구청이 대응에 나섰다. 지난달 30일 인천시 부평구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42분께 "부평구 갈산동 한 공원에 대형 거북이가
2025-07-01 07:53:07[파이낸셜뉴스] 북서태평양 일대 고래류의 연구 활성화를 위해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공동 심포지엄이 울산에서 열린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오는 26일 울산 타니베이 호텔에서 ‘북서태평양 고래류 연구 발전 위한 한·
2025-06-24 13:32:1346억살 지구에는 다섯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마지막 대멸종은 공룡이 멸종한 6600만년 전 일로, 먼 과거의 일이라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현재 여섯번째 대멸종이 진행 중이라고 한다. 이번 대멸종은 '인류 활동'이 원인인데, 인간 활동
2025-05-21 18:28:28[파이낸셜뉴스] 국내외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재확산되고 인간 감염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가운데, 더바이오메드가 신규 경영진 체제 이후 조류인플루엔자(AI) 진단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주목받고 있다
2025-05-21 17:40:32[파이낸셜뉴스] 차기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유력한 후보로 지목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독감(H5N1)'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은다. 조류, 포유류 이어 인체 감염까지 보고...팬데믹 우려16일 업계에 따르면 정
2025-05-16 14:21:27[파이낸셜뉴스] 산림청은 오랜 세월 지역과 함께한 보호수에 담긴 전설과 설화 등 사라져가는 무형의 자료를 기록한 ‘이야기가 있는 보호수 2’를 펴냈다고 13일 밝혔다. 보호수는 산림보호법에 따라 역사·
2025-05-13 09:46:58[파이낸셜뉴스] 관세 부과, 불법 이민, 강물 공급 약속 불이행 등으로 갈등을 빚어온 미국과 멕시코가 이번엔 '구더기'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미국 농무부 장관인 브룩 롤린스는 12일(현지시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2025-05-13 07:5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