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2015 국감]IBK기업은행, 간판만 기술금융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21 11:05

수정 2015.09.21 11:25

관련종목▶

기술신용등급 무의미, 은행 거래 실적 바탕으로 대출
기술금융을 가장 많이 공급한 IBK 기업은행(1만5853건, 총 10조 2533억)의 대출 실적을 분석한 결과 기술금융 대출이 기존 은행 거래 실적(신용)이 좋은 기업들, 평범한 기술력의 기업 그리고 이미 기업의 성숙도가 높은 창업 5년 이상의 기업들 위주로 대출이 치중돼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감독원이 민병두 의원(새정치민주연합⋅정무위원회)에게 제출한 ‘ 기업은행 기술금융 대출 실적(시행 후~2015년 7월 말)’을 분석한 결과, 기존 기업은행과 거래한 신용도 BBB 이상 기업에 공급한 대출이 77.9%(1만2353건)로 기술신용등급 BBB 이상을 기준으로 본 22.1%(3497건)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기술금융의 명목으로 대출되었지만 기술신용등급보다 기존의 기업은행과 거래 실적(신용)이 우선된 것이다.

또한 기술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술등급 T5 이하의 기업에 공급한 대출은 66.3%(1만518건)로 기술력이 양호한 기술등급 T4 이상의 기업에 대한 대출 33.7%(5335건)의 2배 가까이 됐다.

기술력이 매우 우수한 T1 등급의 기업에 대한 대출은 단 한 건도 없었고, 우수 등급인 T2 등급 역시 1.3%(208건)에 불과해 기술금융의 의미가 무색할 만큼 기술경쟁력이 높은 기업이 없었다.


기업의 나이인 업력으로 보면 5년 이상이 73%(1만1571건), 10년 이상이 54.7%(8674건)로 대부분 성숙하고 안정적인 기업들 위주로 대출됐다. 반면 창업한지 1년 미만의 신생기업에 대한 대출은 4.4%(695건)에 불과했다.


민병두 의원은 “ 기업은행의 기술금융은 신용은 낮지만 기술력 높은 중소기업을 발굴하는 정책적 목표를 상실했다” 고 지적하며 “기술금융이라는 간판만 달고 실적쌓기에만 치중하지 않고 우수한 기술력을 지닌 신생기업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sijeon@fnnews.com 전선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