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뉴스1) 박영래 기자 = 30년 전인 1991년 당시 고려대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학자추) 위원장이던 김성학씨(당시 23세)의 실종사건에 대해 가족들이 진상규명을 신청하면서 결과가 주목된다.
김씨의 동생인 김성진씨(52)는 15일 광주시를 통해 형의 실종사건에 대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 진상규명을 신청했다.
지방자치단체나 위원회에 진실규명 신청서가 접수되면 위원회는 90일 이내에 조사개시 여부를 결정해 신청인에게 통보해야 한다.
1991년 3월 고려대 수학과에 재학중이던 김성학씨는 함께 자취하는 후배들에게 "학교에 다녀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나간 뒤 실종됐다.
당시 김씨는 등록금 인상 등 학내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학생자치조직인 학자추 위원장을 맡고 있었고, 학자추의 핵심현안 중 하나는 등록금 문제였다.
고려대는 총학생회 산하에 학자추를 구성했고, 각 단과대학별로도 학자추가 활동했다. 고려대를 비롯해 여러 대학에서 등록금 인상 문제로 총학생회와 대학본부 간 심각한 갈등을 겪어오던 시기였다.
이 때문에 가족들은 국가 권력기관에 의한 '타살'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이번에 진실화해위에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김씨의 실종 직후에 형성된 대학가 '분신정국'과 '신공안정국'으로 인해 김씨의 실종사건은 묻혀버렸다.
김성학씨는 1968년 전남 영암에서 태어났으며 광주 인성고를 졸업하고 서울대에 응시했다가 낙방했다. 이어 재수를 거쳐 1988년 고려대 수학과 88학번으로 입학했다.
김씨의 실종과 관련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었던 가족들은 2000년 1월 제정된 '의문사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가차원의 진실규명을 요청하고 나선 것이다.
동생 김성진씨는 "30년간 묻혀있던 실종사건의 진실이 뭔지 조금이나마 들춰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