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콘 일본 법인 MWI, 스크래핑 기술 제공
日정부의 한국 핀테크 기술 최초 도입 사례
日정부의 한국 핀테크 기술 최초 도입 사례

[파이낸셜뉴스] 쿠콘이 일본 총무성 통계국 사업을 수주했다. 이번 수주는 해외 기술 도입에 보수적인 일본 정부기관이 이례적으로 해외 기술을 도입한 사례며, 한국 핀테크 기술로는 최초다.
쿠콘은 일본 정부가 자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가계조사에 쿠콘 스크래핑 기술을 활용한다고 5월 31일 밝혔다. 쿠콘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국내 IT 기업의 글로벌 사업이 주춤한 현시점에 쿠콘이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 정부기관 사업을 수주하는 쾌거를 달성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통계국은 매달 전용 앱을 통해 가계의 수입, 지출, 저축, 부채 등 일본의 가계수지 실태를 파악하는 가계조사를 실시한다.
쿠콘은 이번 통계국 사업 수주를 통해, 통계국 가계조사 앱과 일본 국민의 결제 내역을 보유한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 간 데이터 연계에 나선다.
쿠콘의 일본 법인 미로쿠 웹케시 인터내셔널(MWI)은 이달 일본 최대 온라인 쇼핑몰 라쿠텐과의 결제내역 데이터 연계를 시작으로 일본의 대표 이동통신사 NTT 도코모, 소프트뱅크 모바일, 라쿠텐 모바일 등의 통신비 사용내역까지 단계적으로 데이터 연계 서비스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이태경 MWI 법인장은 "일본 국민의 민감 정보를 다루는 사업에 쿠콘의 데이터 연계기술이 활용된 것은 쿠콘의 기술력이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까지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MWI는 쿠콘과 일본의 회계 소프트웨어 기업 미로쿠 정보서비스의 합작 법인으로, 일본을 무대로 활발하게 쿠콘 데이터 비즈니스를 추진 중이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쿠콘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데이터 비즈니스 관련 특허 기술을 지속적으로 취득하며 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을 대표하는 비즈니스 데이터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