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우크라 침공설' 푸틴, 美에 나토 확장 금지 요구할 듯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04 21:33

수정 2021.12.04 21:3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수도 모스크바에서 화상으로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의 창당 20주년 기념 연설을 하고 있다.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수도 모스크바에서 화상으로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의 창당 20주년 기념 연설을 하고 있다.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조만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화상 회담에서 러시아와 국경을 맞댄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할 수 없다는 법적 보장을 요구할 계획이다. 동시에 미 언론들은 러시아가 내년 초에 우크라이나 침공을 준비중이라고 전했다.

미 정치매체 악시오스는 3일(현지시간) 보도에서 러시아 크렘린궁을 인용해 푸틴이 미국과 나토를 상대로 안전 보장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럽에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폴란드와 발트해 3국은 모두 나토 가입국이다.
우크라이나는 아직 나토에 들어가지 않았지만 러시아와 갈등 이후 적극적으로 나토 가입을 희망하고 있다. 나토는 지난 2008년 발표에서 우크라이나를 나토에 받아주겠다고 밝혔으나 언제까지 가입한다는 시한을 정하지 않았다. 푸틴은 나토가 계속해서 동쪽으로 전진하면서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자 러시아를 위협할 목적이라고 주장해왔다. 옌스 스톨텐베르크 NATO 사무총장은 지난 1일 "우크라이나가 NATO에 가입하는 문제는 우크라이나와 30개 NATO 회원국들이 결정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러시아는 아무런 거부권이 없으며 이웃 국가를 통제하기 위한 영향력을 행사할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 나토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위협한다고 보고 있다. 지난 2014년 우크라이나에서는 친러 정권이 ‘유로 마이단’으로 불린 친서방 시위대의 격렬한 시위 끝에 물러났으며 이후 들어선 친서방 정권은 본격적으로 친러 세력을 견제했다. 친러 인구가 많았던 크림반도는 같은해 주민 투표를 통해 러시아 영토에 합병되었고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도 친러 반군이 루간스크·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건설을 선포하며 우크라이나 정부와 내전을 벌였다. 양측은 2014년 4월 내전 발발 이후 5개월 뒤 1차 휴전, 2015년 2월에 2차 휴전으로 일단 포성을 멈췄으나 산발적인 충돌을 이어갔고 2019년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프랑스에서 만나 포괄적인 휴전에 합의했다.

우크라이나 국경의 긴장은 올해 들어 다시 팽팽해졌다. 지난 3월 돈바스 지역에서는 반군의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병사 4명이 사망했고 4월에는 10만명에 가까운 러시아 병력이 돈바스 인근에 집결했다. 러시아는 비상점검 훈련 때문에 모인 병력이라며 같은달 병력을 물렸지만 이후 계속해서 군사적인 긴장을 초래했다.

4일 미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익명의 미 정부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지난 봄 우크라이나 국경 부근에서 실시한 훈련에 동원된 병력의 2배 규모로 2022년 초 우크라이나를 공격할 계획"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17만5000명 규모의 100여개 대대 전술단의 광범위한 작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키릴로 부다노프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장은 지난달 "러시아가 9만2000명이 넘는 병력을 우크라이나 국경에 집결했으며 내년 1월 말이나 2월 초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위한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바이든과 푸틴의 회담 날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러시아측은 푸틴이 오는 6일 인도를 방문한 이후 회담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자 회담은 지난 6월에 이어 2번째다.


바이든은 4일 캠프 데이비드 별장으로 떠나는 길에 기자들에게 "나는 오랫동안 러시아의 동향을 알고 있었으며 푸틴과 이 문제를 두고 오랫동안 대화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푸틴의 ‘레드라인(Red line)’ 제의를 받아들일 것이냐는 질문에는 "나는 누구의 레드라인도 인정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앞서 푸틴은 우크라이나에 미사일 방어 시스템 등을 배치하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레드라인을 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