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호주 가스전 지분 투자 대박
'자원안보'에 민관 힘모으길
'자원안보'에 민관 힘모으길

우리나라가 MB(이명박) 정부 시절 지분투자한 호주 프렐류드 가스전이 글로벌 에너지 대란 국면에서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만 783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가스공사가 콜옵션을 행사해 상당한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비축물량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지난 정부에서 단기 수익성만 보고 애물단지 취급했지만 시나브로 효자가 된 셈이다. 윤석열 정부가 긴 눈으로 다시 해외자원 개발에 나서야 함을 일깨우는, 산 교훈이 아닐 수 없다.
프렐류드 가스전은 호주 북서부 해안으로부터 470㎞ 떨어진 곳에 있다.
우리나라는 자원빈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해외자원 의존도가 가장 높다. 제조업 강국이지만 원자재 값이 폭등할 때마다 큰 출혈을 감수해야 한다. 김대중 정부 때부터 해외자원에 눈독을 들여온 이유다. 특히 '자원외교' 깃발을 든 MB 정부는 공기업을 앞세워 해외자원 개발에 본격적 드라이브를 걸었다.
반면 최근 10년간 해외자원 개발은 뒷걸음쳤다. 공기업의 해외 광물투자는 2011년에 비해 2020년 90%나 감소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다분히 적폐청산 차원에서 접근했다. MB 정부 때 투자한 해외 광산들을 손절하는 양 헐값으로 처분하면서다. 지금 이로 인한 대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 리튬 등 원자재난으로 전기차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중국 업체에 내준 게 그 일환이다.
물론 해외자원 개발 시 비위가 생긴다면 단속하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정치적 셈법에 휘둘려선 곤란하다. 더러운 목욕물과 함께 아이까지 내버리는 꼴이 되기 십상이어서다. 그런 맥락에서 문 정부가 '자원안보' 확보 차원에서 큰 실책을 범한 셈이다. 이번에 프렐류드 가스전에서 터진 잭팟이 자원개발 전략에 큰 방향타를 제시한 격이다. 눈앞의 성과에만 집착하지 말고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하란 뜻이다.
올 상반기 국내 기업들의 해외 광물투자에 재시동이 걸렸으니 다행이다. 포스코그룹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확보를 위해 아르헨티나 염호에 40억달러(약 4조9000억원)를 투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세계적으로 자원민족주의가 재부상 중이다. 그러니 윤 정부도 국정과제에 공급망 강화를 포함시켰을 게다. 자원빈국이란 현실을 잊지 말고 민간 주도 해외 자원개발을 적극적 자원외교로 뒷받침하기 바란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