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월급쟁이 급여 9만원 늘었지만"..실제는 5만원 줄었다

김현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8.31 13:36

수정 2023.08.31 15:17

고용부, 7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6월 임금 2.0% 늘었지만 물가 반영은 0.6% 감소
28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 News1 민경석 기자
28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 News1 민경석 기자

[파이낸셜뉴스] 올해 상반기 통장에 찍힌 월급은 9만원 정도 늘었지만 체감하는 월급은 오히려 5만원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가 한풀 꺾였지만 물가 수준을 반영한 근로자 실질임금은 여전히 뒷걸음질 치고 있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사상 처음으로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실질임금은 넉 달 연속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3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올해 7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상용직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세전)은 373만7000원이다. 이는 전년 동월(366만3000원) 대비 7만4000원(2.0%) 증가한 것이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직 근로자가 396만3000원으로 9만8000원(2.5%) 증가했다. 반면 임시·일용직은 174만7000원으로 4000원(0.2%) 감소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사업체가 341만7000원으로 4만6000원(1.4%), 300인 이상은 530만8000원으로 17만원(3.3%) 늘었다.

그러나 물가 수준을 반영한 6월 실질임금은 336만3000원으로, 1년 전(338만5000원)보다 2만2000원(0.6%) 감소했다.

실질임금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2월 잠시 반등했지만 이후 다시 하락세다. 6월 실질임금 하락률은 전달(5월) 0.2%보다 높아졌다.

이는 올해 들어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지만 고물가 충격은 여전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7월 6.3%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5.2%에서 6월 2.7%까지 매달 하락했지만 1~6월 누적 기준으로는 4.0%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이에 1~6월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355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361만3000원) 대비 5만5000원(1.5%) 감소했다. 상반기 기준 실질임금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같은 기간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93만8000원으로, 9만2000원(2.4%) 증가했다.

한편 올해 7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988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1948만명)보다 40만2000명(2.1%) 증가했다. 지난 3~4월 30만명대 증가에 그쳤지만 이후 2개월 연속 40만명대를 회복했다.

산업별로는 국내 산업의 중추인 제조업이 4만2000명 늘며 26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기록했다. 숙박·음식 종사자는 6만2000명 증가하며 21개월 연속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27만1000명(1.7%), 임시·일용직이 12만7800명(6.8%) 증가했다. 학습지 교사 등 특수고용직(특고) 종사자가 포함된 기타 종사자도 2000명(0.2%) 늘었다.

6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9.3시간으로 1년 전보다 2.6시간(1.7%) 증가했다.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보다 1일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를 시도별로 보면 세종 지역 증가율이 5.7%로 가장 높았다. 인천(4.1%)과 대전(3.5%)이 뒤를 이었다.
경북(-0.1%)을 제외한 전 시도 지자체에서 종사자 수가 소폭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