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뉴스1) 박대준 기자 = 지난해 12월 28일 개통한 GTX-A 서울역~운정중앙역 노선에 대해 수혜지역인 고양시 주민들은 크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는 GTX-A 개통 후 시민들의 열차 이용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7일부터 7일간 고양시민 7200명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 변화 조사와 GTX-A 이용 만족도에 대한 모바일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GTX-A에 대한 시민들의 만족도는 90.2%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TX-A 노선은 개통 이후 하루 평균 약 2만명의 고양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정거장이 위치한(서울역 제외) 기초지자체 중 제일 많은 이용자 수로, 그 다음은 파주(운정중앙), 화성(동탄) 순이다.
특히 지난해 3월 개통한 수서~동탄 구간에 비해 운정중앙~서울역 이용자는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설문조사에서 GTX-A 개통 후 가장 좋은 점으로 응답자 중 절반(50%)이 서울 접근성 향상(여가활동·쇼핑증가)을 꼽았다. 이어 출·퇴근 시간 절약(38.6%)이 그 뒤를 이었다.
GTX-A를 처음 경험하는 시민들은 GTX-A 노선이 가져다준 최고 강점으로 ‘획기적인 이동시간 단축효과’를 꼽았다. GTX-A를 이용하면서 기존에 50분 이상 걸리던 킨텍스에서 서울역까지 이동시간은 16분으로 단축됐다. 대곡역에서는 서울역까지 11분이면 이동할 수 있다.
GTX-A 개통으로 고양시민의 교통수단 이용 패턴도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GTX-A 개통 후 대중교통 이용 빈도 변화에 대해 응답자의 42.2%가 이용 빈도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반면 응답자들은 GTX-A 이용 시 가장 불편한 점으로 비싼 요금(49%)과 배차간격(12.9%)을 꼽았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수도권 교통혁명인 GTX-A 개통으로 이동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며 출퇴근길이 한층 여유로워지고, 아침·저녁으로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 일상의 여유를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라며 “GTX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경제자유구역·K-컬쳐밸리·고양영상밸리·대곡역세권 지식융합단지 등의 자족시설 확보와 투자유치 등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는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