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여야 ‘탄핵소추’공방에 사활] “헌정파괴” “국정파탄”


여야는 25일 한나라당의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검토보고를 둘러싸고 사활을 건 공방을 벌였다. 민주당은 이를 ‘헌정 파괴공작’으로 규정짓고 즉각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의 ‘대통령병 때문’이라며 대대적인 반격에 나선 반면 한나라당은 이 문제를 아예 공론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민주당=전용학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나라당 이재오 총무의 대통령 탄핵소추 검토보고에 대해 “국정을 챙길 능력이 없는 이회창 총재가 민주헌정을 파괴해서라도 권력을 잡아보겠다는 정권욕과 대통령병의 결과”라며 “국정혼란,경제파탄,사회불안을 조장해 정권을 잡아보겠다는 것으로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정권욕에 사로잡힌 이총재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라고 맹렬히 비난했다.

전대변인은 또 논평을 통해 “과거 자신들 집권 당시 나라경제를 완전히 망쳤던 한나라당이 당시 자신들이 어떤 정치적 책임을 다했는지 되돌아보지는 않고 경제개혁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는 대통령을 흠집내기 위해 탄핵 운운하는 것은 자신들의 반개혁적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민주당 의원들은 한나라당 이총무의 탄핵소추 발언 소식을 전해듣고 상당히 격앙된 반응을 보였으며 일부 의원들은 이럴 때일수록 ‘의연하게 법대로, 원칙대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나라당=이회창 총재 등 일부 지도부의 신중한 접근 및 검토 발언에도 이재오 총무는 24일에 이어 25일에도 초무단의 의견을 모아 당 총재단 회의에서 대통령 탄핵 소추 문제를 거듭 제기했다. 특히 이총무는 이날 총재단 회의에서 ‘김대중 대통령 탄핵소추 검토보고’를 이총재에게 직접 보고했다.

이총무는 이날 “대통령이 정기국회 전까지 3대 국정파탄에 대한 해결방안을 국민 앞에 분명히 제시하고 나라를 파탄지경에 이끈 국정운영의 잘못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며 “그렇지 못하면 헌법 65조에 의거, 대통령 탄핵소추 발의를 이번 정기국회에서 검토해야 한다”고 전날보다 구체화시켰다.


이에 대해 이회창 총재는 “총무단의 보고를 일단 받은 것으로 하고 그에 대한 대처는 추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정리했다. 전날 이총무의 대통령 탄핵 발언은 권철현 대변인이 사견으로 일축함에 따라 파장이 크지 않았으나 이날 또다시 이총무가 공식 회의석상에서 이를 재론함에 따라 ‘탄핵론’의 당론채택 여부, 이회창 총재의 ‘사전인지’ 여부가 관심사로 대두됐다.

나아가 이총무의 대통령 탄핵 보고가 이총재측과 사전 협의를 거치지 않았겠느냐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어 대통령 탄핵 요구에 대한 분위기 탐색용이라는 지적도 제기돼 주목된다.

/ pch@fnnews.com 박치형 서지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