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로 예정된 쌍용차 이해관계인 집회를 앞두고, 이번에도 해외투자가들에 발목이 잡혀 회생계획안이 통과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씨티은행을 비롯한 쌍용차 해외전환사채(CB) 보유자들은 이날 홍콩에서 총회를 열어 논의를 했으며 쌍용차가 최근 수정을 거쳐 전달한 회생계획안에 동의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이번 집회에서도 회생계획안이 통과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외 CB보유자들은 지난달 열렸던 이해관계인 집회에서도 반대표를 던졌고 이 때문에 계획안이 부결됐다.
회생계획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산업은행 등 회생담보권자(담보가 있는 채권 보유자)의 4분의 3 이상, 해외 CB채권단 등 회생채권자(담보가 없는 채권 소유자)의 3분의 2 이상, 주주의 2분의 1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지난달 투표에서 회생담보권자와 주주의 찬성률은 각각 99.75%와 100%로 승인비율을 넘겼다. 하지만 회생채권자의 찬성률이 42.21%에 그쳤다.
■해외채권자, 담보채권 41% 차지
씨티은행 등 해외채권단은 쌍용차가 발행한 CB 3790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쌍용차 회생담보채권(9200억여원)의 41.1%를 차지한다. 때문에 회생계획안이 통과하려면 해외채권단의 동의가 필수적이다.
당초 회생계획안에는 해외CB를 포함한 무담보 회생채권에 대해 원금 10%를 면제하고, 43%는 출자전환하며 47%는 현금으로 변제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최근 쌍용차는 원금 10%를 면제받는 게 아니라 8%만 면제받기로 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이마저도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
쌍용차 고위 관계자는 “수정된 계획안은 해외 CB 보유자들의 요구 사항을 일부 수용한 것이지만 모든 요구를 들어주려면 다른 채권자의 권리를 침해할 뿐 아니라 위법해지기 때문에 더 이상 수용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수용할 수 없는 무리한 조건 요구”
해외 CB 보유자들의 요구는 크게 3가지. 채권액 10% 면제를 취소하고 출자전환으로 대체할 것, 출자전환된 주식을 3대 1 비율로 감자하는 방안을 취소할 것, 대주주의 감자비율을 10대 1로 늘리고 일반주주 감자 비율도 조정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출자전환 주식을 3대 1 비율로 감자하지 않으면 쌍용차는 자본 50% 이상이 잠식되면서 국내법에 따라 상장이 폐지될 수밖에 없고 회생의 마지막 관문인 기업 인수합병(M&A)에도 큰 차질이 발생한다.
또한 법원이 선임한 회계법인이 보고서에서 쌍용차가 법정관리 상태에 이르기까지 대주주의 경영책임이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자 폭을 더 확대하는 것은 법이 정한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회생여부는 법원 판단에 달려
만약 회생계획안이 통과하지 않는다면, 법원이 강제적으로 계획안을 승인할 수 있다. 지난달 정리인집회에서도 일부 채권자가 법원의 강제인가를 촉구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편 이날 쌍용차 협동회 채권단, 대리점협의회 등 1007개의 업체로 구성된 쌍용자동차 협력 네트워크 협의회는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쌍용차 회생계획안 강제인가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파산4부에 제출했다.
협의회 대표들은 “쌍용자동차가 파산의 길을 간다면 협력업체 및 판매대리점, 서비스네트워크 등도 동반 파산하게 되며 2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고통을 받게 된다”며 “재판부는 대다수 채권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강제 인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yscho@fnnews.com 조용성기자
■사진설명=쌍용차 협력 네트워크 협의회 대표 중 한명인 협동회 사무총장 최병훈 네오텍 대표(앞줄 가운데)가 9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쌍용차 회생계획안 강제인가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