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박군철 원자력학회장 “원자력 선진국 위해 ‘인력’ 양성 시급”

조성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2.02 10:40

수정 2010.02.02 10:36

“우리나라가 원자력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력’ 양성이 시급합니다.”

한국원자력학회 박군철 회장은 27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우리나라가 요르단, 아랍에미리트연합(UAE)과 각각 연구용원자로, 원자력 발전소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지만 ‘반짝’이벤트로 전락하면 큰 일”이라며 원자력 인재양성론을 펼쳤다.

최근 일궈낸 원자력 수출 계약은 지속적으로 기술연구를 하고 인력 양성을 소홀히 하지 않은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박 회장은 “이번에 원자력 수출 계약의 쾌거를 이뤘지만 이를 뒷받침하고 이끌어 줄 고급인력이 부족하다”면서 “양질의 인력을 많이 그리고 꾸준히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자력의 인력에 대한 기술교육과 법적 지원, 산업연계 등 총체적 준비를 치밀하게 진행해야 한단계 더 성장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음은 일문일답.

―한국의 원자력 수준을 평가한다면.

▲한국은 원자력을 자력으로 설계할 수 있는 나라이다.
세계적으로 원자력을 설계할 수 있는 나라는 프랑스, 미국, 일본 등 10여개국 정도이다. 원자력 건설분야에서는 전세계 톱클래스 수준이다. 원자력으로 생산되는 전력을 기준으로 할 때는 한국(20기)이 독일이나 영국(18∼19기)보다 오히려 앞섰다.

―원전 수출 계약 후 국내 연구자의 위상이 달라졌나.

▲UAE 원전 수출계약은 우리의 원전 설계 능력과 안전성을 모두 인정받은 것이다. 연구자들이 자부심을 가질만한 성과였다. 이번 수출 계약을 계기로 일본, 인도 등에서 원자력 연구 협력 요청이 들어오고 있다. 앞으로 학회차원에서의 국제교류도 활발히 진행할 계획이다.

―국제교류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우리가 원자력을 수출할 가능성이 높은 나라들의 원자력학회와 연구협력을 하자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교류를 하는 것이다. 이미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 여러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MOU를 맺었다. 학회를 통해 연구자들이 협력관계를 맺고 친분을 유지하는 것이 원자력 수출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이들 국가의 학회 임원중에는 고위층도 많아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원자력 수출은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갑자기 상품을 불쑥 꺼내놓는 것이 아니라 해당 국가와 꾸준히 스킨쉽을 가져야 한다는 얘기이다. 학회가 그런 연결고리 역할을 하겠다. 정부와 산업체가 적극 지원해주면 좋겠다.

―원자력 기술 독립이 완전히 이뤄진 것인가

▲95%로 보면 된다. 기술 자립을 못한것은 원전제어시스템과 설계코드, 원자로냉각제펌프 3가지다. 설계코드는 국산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고, 2012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나머지 시공, 건설, 설계 등은 모두 우리 기술로 하는 것이다. 원전은 글로벌 사업이다. 모든 기술을 갖출 필요는 없다. 원천기술이 없어서 수출을 못한다면 기술독립을 해야겠지만 기술을 도입하는 게 효율적이라면 도입하는게 나을 수 있다.

―2012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이 가능한가

▲국제적인 수요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우리는 준비가 돼 있다. 단 하나 걱정은 인력문제이다. 원자력 기술인력은 고급인력으로 단시간에 키워낼 수 없다. 현재도 인력이 부족하다고 아우성이다. 앞으로 인력양성에 힘써야 한다.

―원자력의 안전성은 어느정도인가.

▲우리나라는 화력발전소 등 다른 발전소보다 대중에게 미치는 위험도가 낮아야 인허가를 받게 돼 있다. 국내 원전에서 몇 건의 고장이 있었지만 미미한 수준이었다. 당시 대기중으로 노출된 방사능은 없었다. 우리 원전은 선진국보다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다.
국내 원전이 불시 정지된 횟수가 연평균 0.5건에 불과하다. 세계 평균은 우리보다 2배 가까이 많은 0.9건 수준이다.
프랑스는 우리보다 4배 높은 1.9건에 달한다.

/talk@fnnews.com조성진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