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강동원 "수도권보다 지방 상업용 건물 공실률 심각"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28 23:22

수정 2015.09.28 23:22

해마다 전국 곳곳에 빈 사무실과 점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나 빈사상태에 놓인 지방경제 활성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남원·순창)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상업용 빌딩 공실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사무실과 중대형 매장 등 상업용 건물의 공실률이 매년 증가해 2015년 기준으로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이 13.1%, 중대형 매장용이 10.7%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상업용 건물은 오피스와 중대형 매장용으로 나뉜다. 오피스는 주 용도가 업무시설인 6층 이상의 일반건축물을 말한다.
중대형 매장용은 음식점, 슈퍼마켓, 옷가게 등 제1, 2종 근린생활시설 등 3층 이상의 일반건축물을 말한다.

사무실 등 업무용 건물인 오피스의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전라북도였다. 지난 6월말 기준으로 22.6%에 달한다. 전국 평균치 보다 2배 수준에 육박한다.

특히 전북의 오피스 공실률은 3년 연속 전국 최고치다. 2013년에 17.0%, 2014년 20.3%를 기록해 증가추세다. 그 다음은 대전(21.5%), 충북(21.0%) 순이었다.

반면 경기도는 매년 감소해 공실률이 5.8%로 가장 양호했다. 제주 8.4%, 경남 9.1%, 서울 11.1%이 뒤를 이었다.

중대형 매장용 건물의 공실률은 전북과 경북이 전국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경북이 17.2%로 가장 높았고, 17.1%를 기록한 전북이 2위를 기록했다.

중대형 매장의 공실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로 7.1%였다.

전국 곳곳에 텅빈 업무용 사무실과 중대형 매장용 건물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경제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수도권보다 경기가 더 안좋은 지방에서 텅빈 건물들이 훨씬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의 상업용 건물 등이 높은 공실률을 보이는 이유는 심각한 지역경기 침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소비둔화와 임차수요를 크게 떨어뜨렸기 때문이다. 상가건물의 과잉 공급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강동원 의원은 "지방에 텅텅 빈 상업용 건물들이 늘어나고 있어 지방의 서민경제가 더욱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지방에서 창업열기는 커녕 일자리가 부족해 계속적인 젊은이들의 이탈우려가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하다"며 "정부가 외치는 경제활성화는 지방에서는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지방에서도 마음놓고 기업을 운영하고 상가를 임대해 장사할 수 있도록 지역경제 활성화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