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혁신상, 한국 스타트업 34개사에서 48개 수상(종합) 네이버 투자받은 8곳 포함…AI 스타트업 다수 수상 0 스타트업 기업(PG) [제작 이태호] [제작 이태호] C0A8CA3D0000015B37F02DED00142C19_P4.jpeg Y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임성호 기자 = 국내 스타트업들이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3'을 앞두고 발표된 혁신상을 대거 받았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국내 스타트업 34개 사가 코트라의 지원을 받아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선정하는 CES 혁신상 48개를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CES 혁신상을 받은 스타트업은 작년(29개 사)보다 5개 사 늘었다. 특히 소프트웨어·모바일앱 분야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혁신상을 받은 제품이 가장 많았다. 헬스케어 제품이 44%(21개)를 차지했다. 소프트웨어와 모바일앱 분야에서는 인공지능(AI) 3D 오디오솔루션, 대화형 가상인간, AI 시선 추적 솔루션 등 총 10개 제품이 혁신상을 받았다.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는 AI 피부 분석 시스템, AI 초음파 내시경 영상분석 솔루션 등 10개 제품이 선정됐다. 스타트업 중에서는 네이버가 투자한 8곳인 레티널·가우디오랩·엔닷라이트·플라스크·에바·더웨이브톡·세븐포인트원·올링크도 CES 혁신상을 받았다. 이 중 증강현실(AR) 광학계를 개발한 레티널은 2년 연속 상을 받았고, 두 가지의 전기차 충전 솔루션을 만든 에바는 3관왕에 올랐다. 이 밖에도 AI 스타트업 딥브레인AI가 2년째 수상했고, 다른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도 상을 받았다. 코트라는 스타트업이 해외 진출을 위한 레퍼런스(평판)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CES 혁신상 수상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코트라는 수상 기업을 대상으로 홍보 영상 촬영과 롯데하이마트[071840] 판촉전, 해외 파트너 화상상담 등 후속 마케팅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hee1@yna.co.kr,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1-17 14:04:16韓스타트업, CES 혁신상 대거 수상…34개사가 48개 받아 0 신생기업 (PG) [백수진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백수진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PCM20220104000072990_P4.jpg Y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국내 스타트업들이 내년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3' 혁신상을 대거 받았다. 1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국내 스타트업 34개사가 코트라의 지원을 받아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선정하는 CES 혁신상 48개를 수상했다. 이번 CES 혁신상을 받은 스타트업은 작년(29개사)보다 5개사 더 늘었다. 특히 소프트웨어·모바일앱 분야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혁신상을 수상한 제품이 가장 많았다. 헬스케어 제품이 44%(21개)를 차지했다. 소프트웨어와 모바일앱 분야에서는 인공지능(AI) 3D 오디오솔루션, 대화형 가상인간, AI 시선 추적 솔루션 등 총 10개 제품이 혁신상을 받았다.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는 AI 피부 분석 시스템, AI 초음파 내시경 영상분석 솔루션 등 10개 제품이 선정됐다. 코트라는 스타트업이 해외 진출을 위한 레퍼런스(평판)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CES 혁신상 수상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코트라는 수상 기업을 대상으로 홍보 영상 촬영과 롯데하이마트[071840] 판촉전, 해외 파트너 화상상담 등 후속 마케팅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he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1-17 11:44:01(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그동안 IT(정보기술)·가전 업계의 존재감이 컸던 CES(국제소비자가전박람회, 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CES 2023'를 앞두고 다수 업체가 혁신상을 받으며 치열한 경쟁도 예고했다. CES는 세계 최대 규모의 IT·가전 전시다. 주관사인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매년 1월 전시 개최에 앞서 전년도 11월에 28개 부문 중 기술력·혁신성이 뛰어난 제품과 기술에 CES 혁신상을, 부문별로 가장 뛰어난 제품과 기술에 '최고 혁신상'을 선정 및 수여한다. 수상 부문에 디지털 헬스케어 부문이 처음 생기면서 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세가 고스란히 반영됐다. 기존 가전·IT 업체뿐 아니라 다양한 헬스케어 업체들도 CES를 교류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지난 1월 열린 'CES 2022'에는 다국적 체외 진단기업 애보트의 로버트 포트 대표가 헬스케어 기업 대표론 처음으로 기조연설을 했고 애보트의 연속혈당측정기(CGMs) '프리스타일 리브레'가 최고 혁신상을 받은 바 있다. 내년 'CES 2023' 역시 국내외 헬스케어 업체들이 참여를 앞뒀다. 특히 SK바이오팜, 이모티브, 웨이센, 메디웨일 등이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생체표지(바이오마커) 측정, 디지털 치료제(DTx),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진단 영상 판독 등의 기술로 혁신상을 받았다. SK바이오팜은 자체 개발 웨어러블 장치 '제로 글래스'와 '제로 와이어드'로 수상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제로 앱'으로 실시간 생체신호 기록, 전송이 가능하다. 회사는 앞으로 임상 검증을 거쳐 뇌전증 발작 탐지 및 예측 의료기기로 개발할 계획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을 위한 모바일 게임 형태의 디지털 치료제도 상을 받았다. 이모티브는 '스타러커스'(Star Ruckus)라는 이름으로 개발 중인데 진료의 부담은 덜고, 재미와 의료적 효과를 겸비한 디지털 치료제를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눈의 망막을 촬영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메디웨일의 AI 의료기기 '레티-CVD(한국 제품명 '닥터눈')도 수상했다. 심사단에게 혁신, 엔지니어링 및 기능, 설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의료 AI 기업 웨이센은 3개 제품으로 상을 4개나 받았다. 디지털 헬스케어 부문과 소프트웨어·모바일 앱 부문에서 각각 2개 받았다. 소화기 내시경 판독을 돕는 AI 영상 소프트웨어와 목소리나 기침 소리를 스마트폰에 녹음하면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앱을 만들었다. 웨이센은 "3개 제품 모두 의료진과의 공동 연구로 개발된 제품"이라며 "의료 전문가와 인공지능 기업이 함께 기술적으로, 임상적으로 유용한 제품을 공동개발하고 성과를 일궈냈다는 점에서 의료 산업 내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밖에 △닥터나우(비대면 진료 및 처방 의약품 배송 서비스) △알고케어(사용자의 몸 상태에 최적화한 영양 조합을 제공하는 AI 영양관리 솔루션) △에이아이포펫(반려동물 건강관리 앱 서비스) 기업들도 수상했다. 수상 업체들은 한 목소리로 "몇 년에 걸쳐 진행하려던 해외 진출 계획들이 혁신상 효과로 단기간에 추진되고 있다"거나 "투자 유치에도 용이하고 프로필로 활용할 수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디지털 기술을 받아들인 영향도 있다고 봤다. 업체 관계자는 "그동안 CES가 IT·가전 전시였기에 헬스케어 업체의 참가 사례가 적었다. 이번에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발판이 됐다"며 "CES 혁신상 수상을 계기로 글로벌 제약사와 미팅도 잡는 등 여러가지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2-11-22 05:23:12기사내용 요약 삼성전자, CES 2023서 46개 혁신상 차지, 역대 최다 LG전자, CES 2023 28개 혁신상…올레드TV 11년 연속 SK그룹 참가 4년 만에 CES 2023 최고혁신상 첫 수상 [서울=뉴시스] 동효정 기자 = 삼성, LG, SK 등 국내 기업들이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3'을 앞두고 발표한 CES 혁신상을 휩쓸었다. CES를 주최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는 16일(현지시간) 28개 부문에 걸쳐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기술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영상디스플레이 18개, 모바일 11개, 생활가전 10개, 반도체 7개 등 총 46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역대 최다 수상을 기록한 'CES 2020'(46개) 당시와 기록이 같았다. 업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에 수여하는 최고혁신상은 2023년형 TV를 포함해 총 3개(영상디스플레이 2개, 반도체 1개)를 수상했다. 또 가장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에 수여하는 최고혁신상은 영상디스플레이에서 2개, 반도체에서 1개를 각각 수상했다. 2023년형 TV 신제품은 12년 연속 최고혁신상을 수상했다. 게이밍 모니터도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최고혁신상을 수상했다. 생활가전에서는 '비스포크' 가전과 '스마트싱스(SmartThings)' 기반의 서비스 등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수상했다. 생활가전부문에서 역대 최고로 많은 10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최근 출시해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갤럭시 Z 폴드4', '갤럭시 Z 플립4'를 비롯해 '갤럭시 워치5 프로', '삼성월렛' 등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혁신상 영예를 안았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업계 최초로 하드웨어 보안칩, 지문 센서, 보안 프로세서를 하나의 IC칩에 통합해 원칩(One-Chip)으로 만든 생체인증카드용 '지문인증 IC(S3B512C)'가 최고 혁신상을 받았다. LG전자도 최고 혁신상 3개를 포함해 역대 가장 많은 총 28개의 CES 혁신상을 받았다. LG 올레드 TV는 이번에 최고 혁신상 2개를 포함해 모두 12개의 혁신상을 받아 역대 최다 수상 기록을 세웠다. LG 올레드 TV는 2013년 첫 출시 이래 11년 연속 CES 혁신상 주인공이 됐다. 이 중 LG 올레드 플렉스는 게이밍 부문 최고 혁신상, 영상디스플레이 부문 혁신상을 각각 받았다. LG전자는 또 공기청정기 LG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와 무선청소기 LG 코드제로 A9S 신제품 등 생활가전에서도 CES 혁신상을 받았다. 이 외에도 LG전자는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LG 트롬 워시타워 컴팩트, 커브드 올레드 패널을 적용한 LG 울트라기어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 프리미엄 무선 스피커 LG 엑스붐 360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제품들이 혁신상을 받았다. SK그룹은 배터리 및 소재 5개, AI서비스 2개, 디지털 기반 폐기물 솔루션 1개, 디지털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2개 등 총 10개의 제품이 혁신상을 받았다. 특히 SK온의 E556 SF배터리와 SKIET의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는 최고혁신상을 거머줬다. SK그룹 관계사가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것은 CES에 참여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SK이노베이션에서는 총 5개 제품이 혁신상을 수상했다. ▲차량용 경량화 소재 UD Tape(SK지오센트릭) ▲E556 SF배터리-Super Fast Battery(SK온) ▲NCM9 배터리(SK온) ▲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SKIET) ▲LiBS분리막(SKIET) 등이다. SK텔레콤은 AI 기반 동물 엑스레이(X-ray)영상 진단보조 서비스 '엑스칼리버(X Caliber)'와 시각 장애인을 위한 AI 서비스 '설리번A'가 혁신상을 받았다. SK에코플랜트는 폐기물 배출·운송·처리 등 전 생애주기를 추적해 관리하는 고도화된 디지털 솔루션인 '웨이블(WAYBLE)' 이 스마트시티 분야 혁신상을 수상했다. SK바이오팜은 국내 제약사 최초로 디지털 헬스 부문에서 혁신상 쾌거를 이뤘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안경 디자인을 적용한 '제로 글래스'와 스마트폰에 연결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유선형 디바이스 '제로 와이어드'가 주인공이다. CES 혁신상 수상 제품은 내년 1월 5∼8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만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vivi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2-11-17 15:57:07(서울=뉴스1) 김예원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3'에서 한국이 전체 참가국 중 최고혁신상을 가장 많이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총 20개 수상 기업 중 9개 사가 한국 기업이다. 최고 혁신상은 'CES 2023' 주최사인 미국소비자기술협회가 전세계 혁신 제품을 대상으로 기술, 디자인, 혁신성을 평가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제품 및 서비스에 수여하는 상이다. 올해는 스마트 홈 등 28개 혁신 분야에서 최고 혁신상 23개 제품, 20개 기업이 선정됐다. 양적 측면에서 한국은 개최국인 미국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혁신상을 받은 한국 기업은 9개 사로, 미국(4개 사)보다 많다. 한국은 12개 제품, 미국은 4개 제품이 올해 최고 혁신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드러지는 건 한국 벤처·스타트업의 약진이다. 최고 혁신상을 받은 9개 국내기업 중 5개 사가 벤처·스타트업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닷(DOT)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촉각 그래픽 장치 '닷 패드'로 '접근성'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았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시각 그래픽을 2400개 핀의 촉각 그래픽으로 표시해 시각 장애인들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그림과 이미지를 손가락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래핀스퀘어는 그래핀을 이용한 가상 난방 가전인 ’그래핀 라디에이터(Graphene Radiator)'로 '가전제품' 부문 최고 혁신상을 받았다. 그래핀은 세계에서 가장 얇고 강하다고 평가받는 신소재다. 적은 에너지로 발열이 가능해 소규모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열을 낼 수 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타국 부스를 돌며 딥테크 기업 육성과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화라는 우리의 정책방향이 세계적 추세임을 확인했다"며 "지난해 마련한 초격차 스타트업1000+프로젝트 등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3-01-16 1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