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지방대發 감원태풍 교수사회 강타


대학사회에 교수퇴출 바람이 불고 있다.

극심한 신입생모집난에 허덕이던 대학들이 너도나도 학과 통폐합 등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는 탓이다.

일부 지방대학들은 이미 학과 통·폐합작업을 마치고 교수감원작업에 착수했다.

교수를 감원하지 않더라도 교수 평가방법 등을 통해 대학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도여서 앞으로 성과나 실적이 없는 교수들은 자동 퇴출될 전망이다. 대학에도 기업의 경영마인드가 도입되는 셈이다.

이에따라 비교적 안전한 정년이 보장됐던 기존의 교수사회에 일대 변화가 예상된다.

▲능력없는 교수는 안돼

구조조정과 교수퇴출바람은 지방대학에서 부터 불고 있다.

경북 문경대는 최근 5개 계열 8개 학과 12개 전공을 11개 학과로 줄이면서 전체 교수 37명 가운데 9명을 해임키로 하고 이를 해당 교수들에게 통보했다.

이 대학은 올해 신입생 정원(880명)의 30% 밖에 채우지 못하는 등 1998년부터 학생 수가 정원을 크게 밑돌자 내년 신입생 정원을 612명으로 줄이기로 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다만 해임 통보를 받은 교수들의 반발이 거세, 진통이 예상된다.

경북 구미지역 K대학도 경쟁력없는 학과의 통?^폐합 등 강도높은 구조조정안을 마련, 조만간 교육인적자원부에 승인을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폐과되는 교수는 퇴출도 불가피할 것으로 학교측은 보고 있다.

이 대학은 우선 계약직으로 들어온 15명의 교수들에 대해 재 계약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1차 교수감원 작업을 마친 상태다.

이 대학 관계자는 “교수들은 가능한 줄이지 않는다는 것이 학교의 기본 방침이지만 학과 통폐합과정에서 과가 아예 없어질 경우 부득이 교수퇴출도 고려해야할 상황이다”고 말했다.

▲교수평가제 강화

지방대학들은 교수를 감원하지 않더라도 현재 시행하고 있는 교수 다면평가제를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어서 멀지않은 장래에 2차 퇴출도 예상해 볼 수 있다.

상당수 지방대학들이 2년여 전부터 도입해 시행하고 있는 교수 평가제는 학생들이 교수의 강의방식을 평가하는 제도다.

일례로 문경대는 학기말에 강의평가를 하지않는 학생은 다음학기 수강신청이나 성적확인을 할 수 없도록 했다.

철저한 교수평가제를 통해 학업의 질을 높이는 등 대학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올들어 가장 먼저 학과통폐합작업을 마친 전북 완주의 한일장신대도 교수연구실적 및 강의시간 준수여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 사회봉사부분 등을 평가해 교수들의 승급이나 승진에 반영키로 했다.

이 대학 임희모기획처장은 “교수는 감원하지 않는 대신 우수학생선발, 교육의 질 및 학교경쟁력 강화 등에 구조조정의 촛점을 맞췄다”며 “대신 저평가된 교수는 강의시간 재배정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런 평가제는 구미1대학 등 전국 대부분의 대학들이 올해 도입할 계획이거나 시행 중이어서 기존대학질서 재편은 물론 교수사회에 변화의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대학마다 경영진단 러시

일부 지방대학들은 학교경영진단을 통해 경쟁력강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최근 교명을 대구한의대로 바꾼 경산대는 지난 4월 외부 전문컨설팅사의 경영진단 결과를 토대로 5개 단과대, 9개 학부로 대대적인 직제 개편을 단행했다.

경산대는 생명공학(BT), 문화공학(CT), 정보공학(IT) 등 3T 중심으로 학제를 개편, 5개 대학 9개 학부(20개 전공) 23개 학과로 재편하고 한약학과, 물리치료학과, 임상병리학과 등 3개과를 신설키로 했다.


대구가톨릭대도 외부 기관에 의뢰한 ‘직무 개선 및 업무 개선 프로젝트’에 따라 최근 입학 및 취업 업무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을 개편한데 이어 경영진단도 실시키로 하는 등 대학마다 생존을 위한 자구책 마련이 한창이다. 지방대학의 한 고위관계자는 “그간 대부분의 대학들이 다른 대학의 눈치만 봐 왔지만 문경대의 이번 교수퇴출사례는 4년제를 포함 다른 대학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지방대학이 전체 대학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나 ▲입학자원 부족 ▲대학 재정난 ▲유능한 교수 유출 ▲취업난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그 역할이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며 “대학경쟁력 강화의 근본적 문제는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물린 사립대학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인수?^합병에 나서느냐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 ekg21@fnnews.com 임호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