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대학 길들이기에 나서면서 하버드를 비롯한 명문 대학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하버드대학에 대해서 학내 반유대주의 통제 강화,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즉시 중단, 교수 채용과 입학관련 감사 수용 및 자료 제출 등을 요구했고 하버드가 이를 거부하자 3조 이상의 연방 보조금을 동결했다. 그뿐만 아니라 연구지원금 동결,
2025-05-15 18:07:38정부조직 개편은 대통령 선거 때마다 제기되는 이슈다. 이번에도 각 당의 선거캠프와 정책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부처의 신설이나 기존 부처의 분할과 통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를 대통령 직속의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분할,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과 환경부의 기후변화대응 정책을 통합한 기후에너지부 신설, 대학정책과 기초과학정책을 묶�
2025-05-13 20:19:47"DeepSeek(딥시크) 사용해 보셨나요?" 부드럽지만 단호했다. 눈가엔 여전히 따스한 웃음마저 드리운 채다. 베이징 상무관 시절부터의 오랜 친구지만, 순간 등골이 서늘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벽이 눈앞에서 하늘로 치솟는 환영이 스쳤다면 과장일까. 중국의 엄격한 관료 양성체계 속에서 옌타이와 위하이를 거쳐 지난시에서 세 번째 부시장을 맡고 있는 그녀의 확신에 찬
2025-05-08 19:24:39보통 기관들은 12월에 경제전망을 쏟아낸다. 2025년 한국 경제는 1.7% 성장은 가능해 보였다. 올해가 되자 기관들은 전망치를 낮추기 시작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5%로 전망했다. OECD는 대체로 후한 편이다. 근데 석 달 전보다 0.6%p나 낮췄다. 4월 국제통화기금(IMF)은 1%라고 발표했다. 애초 전망치의 딱 절반이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냉정하다. 0.5%란다. 올해 한국 경제는 0%�
2025-05-06 18:35:37얼마 전 미국 워싱턴DC에서 한국과 미국 경제·통상 수장 간 '2+2 통상 협의'가 열렸다. 우리나라 대통령의 궐위로 양국 정상회담이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그나마 통상협상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협상 분야와 관련해서는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의 4개 분야가 논의 대상으로 발표되었다. 짐작건대 개별 분야�
2025-05-01 18:12:48러스트 벨트(Rust Belt). 제조업 몰락으로 녹슬어 버린 공장의 모습을 묘사하는 표현이다. 미국 산업의 메카로 알려졌던 미시간,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등을 잇는 미국 북동부 지역을 일컫는다. 이들 지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철강,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경제적 번영을 누렸지만 산업의 전환, 강성 노조의 등장과 높은 인건비 등으로 기업들이 빠져나가며 급격히 쇠퇴의
2025-04-29 18:34:46전 세계가 트럼프발 관세전쟁으로 신음하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글로벌 무역 전망과 통계' 2025 보고서에서 미국의 고율 관세로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이 전년 대비 0.2%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로 타격받았던 2020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글로벌 무역량이 줄어들면 한국은 심한 타격을 입는다. 수출시장 특히, 주력 상품인 중간재 수출시장이 줄어들어서다
2025-04-24 19:22:05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미국의 대내외 불균형이 축소되고, 한국 경제는 수출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을 확률이 높다. 특히 한국의 각 경제 주체는 환율의 급격한 변동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는 미국의 대내외 불균형이 지나치게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우선 2024년 연방정부 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1
2025-04-22 18:0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