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치페이 할게요!" 이제는 우리 일상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표현인 '더치페이', 무슨 뜻일까요? 더치(Dutch)는 영어로 '네덜란드의 사람, 언어와 문화 등'을 뜻합니다. 그럼 '더치'에 '페이'가 붙었으니 삼성 페이나 애플 페이처럼 결제 수단의 한 종류라고 예측해 볼 수 있겠지만 이는 정답이 아니죠. '페이' 부분은
'더치-하다(go Dutch)'라는 표현이 국내에 정착하던 중 추가된 것으로, '더치페이'는 엄밀히 말해 한국식 영어, 콩글리시에 가깝습니다.
'더치-하다'라는 표현의 유래에는 많은 가설이 있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기원은 음식 대접 문화를 뜻하는 네덜란드 단어
'더치 트릿(Dutch Treat)'입니다. 본래 '더치 트릿'은 영어 단어 'Treat(대접하다)'에서 유추할 수 있 듯, 특별한 사람들에게
한 끼 음식을 대접하는 네덜란드의 문화를 뜻했습니다.
지난 2017년 국내의 한 구인구직 플랫폼 '잡코리아'에서 실시한 더치페이 관련 설문 조사에서
'더치페이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의 90% 이상에 달했습니다. 더치페이를 하는 이유로는
'서로에게 부담 없는 모임 지속'이 62.2%로 1위를, '더치페이가 당연해서(52.5%)' '모임 비용을 줄이려고(20.8%)'가 다음 순위를 차지했죠.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과 대학생 그룹 모두 92% 이상이 더치페이 문화가 앞으로도 확산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오늘날 더치페이는 두 명 이상이 함께 비용을 지불하는 일반적인 방법의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학교나 회사 인근 식당에서는 "각자 계산해드릴까요?"라는 물음이 더는 어색하지 않습니다. 메뉴를 공유하는 문화로 인해 각자의 몫을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죠. 최근에는 자신이 지급해야 하는 몫이 얼마인지 일일이 계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전체 금액을 인원수대로 나누는 'N빵'이나 한 차례씩 번갈아 가면서 계산하는 방식도 더치페이의 개념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 사회에 급격하게 확산된 더치페이, 그리고 논란. 원인을 분석하는 많은 이들은
'성별 간 사회, 경제적 지위 격차 완화'를 그 키워드로 꼽습니다.
과거 상대적 약자로 생각되던 여성들의 경제 활동 및 소득 증가에 따라 데이트 비용을 남성이 더 부담해야 한다는 사고가 이제는 시대착오적이라고 여겨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결혼을 준비하며 집과 혼수를 반반씩 부담하는 트렌드 등도 더치페이 문화의 일부로 '남녀평등'이 일부 실현되어감을 설명한다고 언급합니다.
일방적인 비용 분담으로 인해 주어지던 주도권, 그리고 서열이 사라져가는 과정이라는 해석이죠.
2022년, '한국리서치'에서 진행한 기획조사에서 음식값은
'성별' '연령' '서열과 직급'과 무관하게 각자 혹은 비슷하게 지불(더치페이)해야 한다는 응답이 모두 과반을 넘어섰습니다. '경제력'과 관련해서는 '더 나은 사람이 더 계산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52%로 가장 높았지만, '더치페이를 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도 46%로 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더치페이 경험에서 상대방과의 관계를 특정하는 경우, 빈도수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친구' 및 '직장동료'와 더치페이를 '자주' 혹은 '가끔' 한다는 답변은 각각 전체 응답자의 82%와 72%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애인(37%)' '가족(24%)' '친척(24%)'은 모두 과반 이하를 기록했습니다. 더치페이 빈도수가 전반적으로 높은 2030 젊은 연령층에서도 차이는 쉽게 좁혀지지 않는 모습입니다.
더치페이 문화가 특별히 국내에 한정된 것은 아닙니다. 한 해외 커뮤니티에 올라온 첫 데이트 비용을 더치페이해도 괜찮은 지'에 대한 질문에도 "초대한 사람이 내는 것이 예의" "서로의 재정 상황이 공유되지 않은 관계에서는 더치페이가 합리적" "오히려 본인의 재정 상황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기회" 등 답변의 의견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2022년 11월, 한 유명 외신은
"누가 첫 데이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하는 기사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여러 사례와 인터뷰 조사 결과를 소개한 이 기사는 "데이트 계획을 함께 세우며 충분한 의사소통을 나눈다면 누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지에 대한 암묵적인 기대를 피할 수 있다"는 한 응답자의 제안도 소개했습니다. 데이트 비용을 누가 부담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오늘날 전 세계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온라인 성별 갈등으로까지 번지는 데이트 비용 더치페이 논란. 견해의 차이를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안은 여전히 멀게만 느껴집니다. 더치페이는 서로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 만남의 빈도와 만족감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빠르게 확산했지만,
진행 중인 논쟁에 더 이상 '나눔'과 '배려'의 목소리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더치페이가 당연하다는 의견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 모두 생각이 지나치게 치우친다면 그만큼 상대방을 배려하고 교감하고자 하는 마음은 자리를 잃어가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