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리고 비 서울 9.7 흐리고 비
  •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보수진영의 반 이재명 빅텐트 한 축으로 꼽히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를 두고 김문수·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의 반응이 엇갈렸다. "함께 해야 한다"는 대전제에는 공감하면서도 김 후보는 "소통하겠다"고 한 반면, 한동훈 후보는 "당 중심"을 외쳤다. 두 후보의 이같은 입장차를 고려할 때, 단일화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국힘 대선후보 '당무우선권' 부여…누가 되느냐 '단일화' 향방 결정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는 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3년 임기 개헌 △통상 문제 해결 △국민통합과 약자와의 동행 등을 공약하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한덕수 후보는 이날 "우리에게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 헌법 개정"이라며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분들과는 누구와도 협력한다. 필요하면 통합도 해나갈 것"이라고 빅텐트에 문을 열어뒀다. 한덕수 후보의 출마에 국민의힘 경선 후보들의 입장은 엇갈렸다. 그동안 단일화에 적극적이던 김문수 후보는 "빠른 시간 내에 한번 만나든지, 소통해서 (단일화)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반면, 한동훈 후보는 "모든 사람이 함께할 것"이라면서도 "우리 당은 대통령 후보가 선출되면 그 후보 중심으로 이기는 길로 갈 것"이라며 '당 중심'을 주장, 당 밖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한덕수 후보를 견제했다. 이에 국민의힘 후보가 누가되느냐에 따라 단일화 향방이 갈릴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대선 후보에게 당무우선권을 부여해, 대선 후보는 단일화룰 등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절대적 권한을 갖게 된다. 단일화, 김문수-한덕수 지지층 공유 '급물살'…한동훈 불발 가능성도 김 후보가 승리할 경우 단일화 논의는 속도를 낼 전망이다. 두 후보는 '친윤'(친윤석열)으로 불리는 당내 정통 지지층을 공유하고 있어 단일화룰을 둘러싼 이견도 크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 이날 한덕수 후보 출마 기자회견에 김기현·추경호·성일종·송언석·구자근 의원 등 '친윤'계 의원들이 함께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이낙연, 한덕수 등과 대선 연대 가능성 질문에 "아직 확신 없어" 민주 "한덕수 출마는 윤석열 출마…내란정권 실패 책임자"(종합2보)

  •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KB국민은행에서 20억원대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이날 20억745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 발생 사실을 공시했다. 금융사고 내용은 외부인에 의한 사기다. 대출사기 일당이 대출 허위 서류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1년 5월 6일~2022년 11월 18일 발생한 사고로 해당 영업점으로부터 '주요 정보사항 보고' 접수 등을 통해 발견됐다. 현재 사고와 관련해 수사기관의 수사가 진행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새마을금고, 부당대출 1700억 금융사고 발생 하나은행, 64억 규모 금융사고 3건…외부인에 의한 사기

  •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지난달 SK텔레콤(017670) 가입자가 약 11만 명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순감 규모는 전월 대비 743% 증가다. 해킹으로 인한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의 영향이 컸다. 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이동전화 번호 이동자 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옮겨간 가입자는 23만 7001명이다. 이들 중 KT(030200)로는 9만 5953명이, LG유플러스(032640)로는 8만 6005명이 빠져나갔다. 알뜰폰(MVNO)으로도 5만 5043명이 옮겼다. 다만 지난달 타사에서 SK텔레콤으로 이동한 수치가 12만 2671명을 기록하면서 SK텔레콤의 가입자 순감은 11만 4330명으로 집계됐다. 직전 달보다 8배가량 높은 수치다. 실제 KT와 유플러스는 보조금 규모를 늘리면서 가입자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여기에 국회 등에서 나오는 지적대로 SK텔레콤이 약정 기간 내 번호이동 시 발생하는 위약금까지 면제하게 된다면 가입자 이탈에 더욱 힘이 실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전날(1일)도 SK텔레콤에서는 3만 8716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탈하고, 2648명이 새로 가입해 3만 6068명이 순감했다. 같은 날 KT는 2만 2012명, LG유플러스는 1만 8125명을 흡수했다. 이같은 가입자 이탈이 지속되면 '1위 통신사'인 SK텔레콤 지위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 이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SKT 타워에서 일일 브리핑을 열고 "침해를 인지하고 나서 24시간 내 유출 등을 제대로 신고하지 못한 점, 저희가 벌을 받아야 하는 잘못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거듭 고개를 숙였다. '신규가입 중단' SKT 주가 또 하락…어부지리 KT·LGU+ '신고가'(종합) SKT 개인정보 유출피해 막으려면…유심 교체 O·휴대전화 교체 X

  •  의대생 수업 거부로 인해 5개 대학에서 제적이 예정된 대학생이 2000명을 육박한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부는 일부대학 의대생의 무단결석 1개월 이상에 따른 제적 예정 현황에 대해 2일 공개했다. 교육부는 지난 4월 30일 교육부와 의대 학장단 회의 결과에서 더 이상의 학사유연화 조치는 없으며, 유급과 제적 사유 발생 시 학칙을 원칙적으로 적용하기로 재확인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일부 대학은 학칙상 1개월 이상 무단 결석할 경우 제적 처리되는 5개교의 경우 이날 제적 예정임을 통보했으며, 미복귀 학생에 대해 제적 처리할 계획이다. 현재 교육부에 알려온 제적 예정 통보 완료 학교는 4개교로 순천향대 606명, 을지대 299명, 인제대 557명, 차의과대 190명 등이다. 또한 제적 예정을 이날 통보할 대학은 건양대 1개교이며, 해당 학생은 264명이다. 교육부는 "지난달 30일까지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하지 않아 유급 등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해당 학생들은 학칙에 따라 관련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교육부는 각 대학에 유급·제적 예정 대상자 명단을 작성해 내부 결재하도록 하고, 추후 대학별 현황 점검 시 다시 확인할 예정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의대 문제도 벅찬데 대통령 권한대행까지…애써 담담한 교육부 서울시의사회 "의대생 유급, 교육 위해선 최대한 늦춰야"

오피니언

포토

분야별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