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낮 서울 주택가 한 골목에서 승용차 한 대가 갑자기 돌진해 운전자와 보행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2일 경찰에 따르면, 사고는 전날 오후 4시12분쯤 마포구 공덕동의 한 주택가 이면도로에서 발생했다. MBC, 채널A 등이 공개한 CCTV를 보면, 당시 60대 A씨가 몰던 제네시스 차량은 행인들이 나오는 골목길 쪽으로 빠르게 돌진했다. 무서운 속도로 달려오던 승용차는 돌연 방향을 살짝 틀어 3층짜리 건물을 들이받고 공중에 붕 떴다. 이내 맞은편 가게 앞으로 뚝 떨어졌다. 건물에서는 연기가 피어올랐고, 도로 주변에는 부서진 차량 파편들이 나뒹굴었다. 앞부분이 완전히 부서진 차량은 반대편 전신주까지 들이받고 나서야 멈췄다. 현장에 달려온 시민들은 하나둘씩 모여 차량을 들어 올려 구조에 나섰다. 그러나 A씨와 현장을 지나다 차에 깔린 80대 여성은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을 거뒀다. 이 여성은 지인들과 동네 모임을 마치고 집으로 가는 길이었다. 인근 카페 사장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갑자기 '쾅'하는 어마무시한 소리가 나서 딱 봤더니 전봇대에 차를 박았다"며 "그 앞에 아줌마들 네 분이 계셨는데, 그중 한 분이 '언니, 언니'하더라. (일행이었던 여성이) 차에 깔렸나 보다"라고 설명했다. 인근 상인은 "운전석 쪽이 이쪽 가게에 밀착돼 있어서 그쪽으로 못 빠져나와 보조석 쪽에서 창문 깼다. 여러 명이 (차를 들어 올렸는데도) 차가 안 들려졌다"며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목격자들 사이에서는 사고 직전 해당 차량에서 굉음이 들렸다는 증언도 나왔다, 인근 상인은 "굉음이 너무 크게 들려서 깜짝 놀랐다. 우우웅하면서 쾅 하는 소리가 난 다음에 주변에서 사람들이 막 비명 질렀다"고 말했다. 들이받힌 건물의 벽과 간판 곳곳이 깨지고, 건물 한쪽 기둥은 완전히 찌그러졌다. 또 건물 붕괴 위험이 있어 맞은편 가게는 문을 닫았다. 노란색 점멸등만 있는 이곳 교차로는 평소 차량과 시민이 뒤섞여 다니는 곳이다. 특히 이면도로는 좁아지는 데다 시속 30㎞ 속도 제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쌍방울 그룹이 자신의 방북을 위해 북한에 300만 달러를 보냈다는 의혹에 대해 “소설”로 일축했다. 이 대표는 2일 국회에서 기자들이 ‘방북 자금과 관련해 이화영 전 경기보 평화부지사에게 보고 받은 적 없냐’고 묻자 “소설 가지고 자꾸 그러시는 것 같다”고 대답했다. 이 대표는 북한에 달러를 전달한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과의 인연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이 대표는 김 전 회장에 대해 “만난 일도 없고, 본 일도 없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는 ‘경기도가 당시 북한에 초청장까지 보냈다는데 전혀 모르냐’, ‘승인이나 보고 과정도 없었느냐’ 등의 추가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김 전 회장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2019년 북한에 총 800만 달러를 전달했다. 500만 달러는 경기도의 북한 스마트팜 지원 사업 비용이고 나머지 300만 달러는 이 대표의 방북 비용이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러시아 시베리아의 한 어린이 캠프에서 낙타의 공격을 받고 사망한 남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최근 데일리메일, 뉴욕포스트 등 매체는 지난달 러시아 시베리아 옴스크에 있는 베료즈카 레크리에이션 센터에서 근무하던 관리인 A(51)씨가 낙타의 공격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함께 공개된 영상에는 A씨가 낙타의 고삐를 잡아 끌어 뺨을 가격하는 모습이 담겼다. 갑작스러운 공격을 받은 낙타는 A씨를 넘어뜨린 후 짓밟고 여러차례 물어뜯는 등 보복을 했다. 낙타의 공격에 상처를 입은 A씨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 자란 낙타는 키 2m 이상에 몸무게가 800㎏이 넘는 육중한 몸집을 자랑한다. 기분이 상하면 침을 뱉거나 화가 풀릴 때까지 주변을 공격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언론은 "낙타는 이런 대접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동물의 얼굴을 때린 남자가 죽음을 맞았다"고 전했다. 한편 러시아 검찰은 어린이 캠프 측이 낙타를 합법적으로 보유한 것인지 조사하고 있다.
[삶] 이수정 교수 "연쇄살인범 강호순이 사형집행 가능성 물었다" "연쇄 살인범들이 유일하게 무서워하는 건 사형 집행" "내 인생 역경은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태어난 것이다" "더 나은 세상 만들기 위해 욕먹어도 할 일은 하겠다" 0 대학시절 동아리 친구들과 함께 한 이수정(맨 왼쪽) [본인 제공] PCM20230201000051990_P4.jpg Y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선임기자 = 이수정(59) 경기대 교수는 범죄심리 전문가다. 경찰과 검찰을 오가며 흉악범 검거에 도움을 줬고 교도소에 가서 연쇄살인범들 면담도 했다. 그는 지금도 한국을 좀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 후손에게 물려줘야 한다는 생각에 정책 제안을 활발하게 하는 등 바쁘게 살고 있다. 지난달 30일 서울 충정로 경기대에서 그를 만났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연쇄 살인범들이 유일하게 무서워하는 것은 사형집행이라면서 사형제 자체를 없애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흉악범 처벌의 실효성을 위해서는 감형 없는 종신형 도입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국회의원의 면책·불체포특권은 당연히 사라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원순 성폭력 사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는 비겁한 행위라고도 했다. 1964년 부산에서 태어난 그는 연세대 심리학과, 미국 아이오와대 심리측정 석박사 과정을 거쳐 연세대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비상임위원, 공군병영혁신자문위원회 위원장, 법무부교정개혁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그는 2019년 영국 BBC 선정 '세계 100인의 여성'에 뽑혔다. 0 BBC 선정 '100인 여성'에 들어간 이수정(윗줄 왼쪽에서 세 번째) [본인 제공] PCM20230202000049990_P4.jpg N -- 출생지는 어딘가. ▲ 부산시 동구 수정동에서 태어났다. 그래서 수정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어릴 때 나는 이름이 수정이 아니고 '누나'인 줄 알았다. 우리 집은 할아버지, 할머니, 고모, 삼촌 등 3대가 모두 모여 사는 대가족이었는데,
일본,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최근 마스크 착용 의무를 완화했지만 실내는 물론 길거리에서도 여전히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 외신들이 주목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일 아시아 국가 정부들이 마스크 규정을 완화해도 국민들이 이른 시일 내 마스크 착용을 완전히 중단하지 않을 것 같다며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그 이유를 집중 조명했다. NYT는 지난 2년 동안 마스크 착용이 생활습관으로 굳어졌다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한국과 일본은 과거 2002년 사스와 2012년 메르스 등으로 코로나 이전부터 마스크 착용을 경험했는데, 지난 2년간의 팬데믹은 이러한 습관을 더욱 굳히게 됐다는 분석이다. 마스크를 쓰면 화장을 하거나 미소 등 표정 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편리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과 일본 정부가 마스크 착용을 계속 권장하고 있다는 점도 마스크를 계속 쓰는 요인으로 꼽혔다. 한국과 일본은 코로나19 재감염에 대한 우려 및 해외여행 규제 철폐에 따른 확진자 급증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평시 마스크 착용을 여전히 권고하고 있다. 특정 장소에선 여전히 의무화되고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NYT는 “일본은 실내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한국은 대중교통과 의료기관에서 마스크 착용은 여전히 의무”라며 “마스크를 수시로 착용했다 벗을 바에 차라리 마스크를 계속 쓰는 편을 택하는 이들이 많다”고 분석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편의점 업계 종사자들이 이제껏 겪어온 충격적인 진상 사연을 공개한다. 3일 방송되는 MBN '우리가 몰랐던 세계-진상월드'에서는 도합 32년 경력의 편의점 점주·점장 3명과 아르바이트생 3명이 출연해 생생한 편의점 일화를 전한다. 선공개된 영상에서 아르바이트 4년 차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외국인 굴리씨는 "자주 오던 동네 단골손님이 있었다. 평소에도 말을 걸고 그랬는데 그래도 손님이니까 어느 정도 받아주고 친절하게 응대하며 돌려보냈다"고 운을 뗐다. 이어 "그런데 어느 날은 매장에 들어오더니 '내 아들을 낳아주면 모든 걸 해주겠다'고 하더라. 농담이 아니라 진지하게 말했다. 그전에도 말 걸 때 좋게 받아주니까 (그랬다)"고 토로해 출연진의 분노를 유발했다. 아르바이트 3년 차 김미소씨는 "처음 온 손님인데 남자친구 있냐더라. 그래서 남편도 있고 아이도 3명이나 있다고 답하고 쫓아냈다"고 고백했다. 김씨는 "'나 노총각인데 한 번만…'이라고 하시더라. 그래서 나가라고 한 뒤 거스름돈을 건네는데, 갑자기 내 손을 잡아버리더라"라고 불쾌했던 경험담을 털어놨다. 아르바이트 4년 차 김미숙씨는 "현금을 주실 때 일부러 이 앞에 떨어뜨리곤 한다. 그럼 제가 돈을 주우려고 하면 손을 탁 더듬는 건 흔한 스킬"이라고 고충을 전했다. 점장 5년 차 이곤씨도 비슷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손님이 들어왔을 때부터 (상태가) 좀 이상하긴 했었다. 그런데 앉아서 팬티를 보여주더라"라고 말했다. 말문이 막힌 김구라는 "도대체 팬티를 왜 보여준 거냐"며 의아해했다. 알고 보니 술에 취한 여성이 '이씨가 마음에 든다'며 치근덕댄 것. 이씨가 공개한 편의점 CCTV 영상을 보면, 문제의 여성은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고 계산대 앞에서 휘청거리며 이씨에게 계속 말을 걸고 과한 장난을 쳤다. 이씨는 "손님이 '(잘 생겼는데) 왜 편의점에서 일하냐'고 하더라. 여자친구 있냐고 해서 (거짓말로) 결혼도 했다고 했다"며 "그랬더니 치마를 입고 있었는데, 바닥에 앉아서 팬티를 막 보여주더라. 다
애플사의 간편결제 시스템인 ‘애플페이’가 국내에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전자금융거래법' 등 관련 법령과 그간의 법령해석을 고려해 신용카드사들이 애플페이 서비스 도입을 추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금융위는 "신용카드사는 관련 법령 준수와 함께 애플페이와 관련한 수수료 등 비용을 고객 또는 가맹점에 부담하게 하지 않아야 한다"며 "또한 고객 귀책이 없는 개인정보 도난·유출 등으로 야기된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는 등 소비자 보호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현대카드는 애플과 계약해 애플페이의 국내 출시를 준비해왔다. 지난해 말 금융감독원이 애플페이의 약관 심사를 완료하며 조만간 국내에 정식 출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EMV 비접촉 방식의 보안 문제를 두고 금융위가 검토를 이어가며 출시가 지연됐다. 애플페이를 이용하기 위해 설치되어야 하는 단말기 등에 대해서는 “연 매출 30억원 이하 영세·중소가맹점에 대해서는 신용카드 사회공헌재단과 동반성장위원회가 함께 NFC 단말기 설치를 지원 중”이라며 “이들 단말기 중 일부에서는 애플페이 결제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과 동반성장위원회는 연매출 30억원 이하의 영세·중소가맹점에 공동으로 NFC·QR 단말기를 지원 중이다. 이 중 일부는 애플페이 결제가 가능하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향후 애플페이 서비스 출시를 통해 일반 이용자들의 결제 편의성이 제고되고 근접무선통신(NF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결제 서비스의 개발·도입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SNS에서도 파이낸셜 뉴스를 만나보세요!